어린이과학동아
"결정"(으)로 총 1,1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챙겨 볼 수 없겠지요. 제가 지금 만들고 있는 건 세계 시간의 기준입니다. 이 선을 기점으로 동쪽으로 12개, 서쪽으로 12개의 시간대가 결정되지요. 서쪽으로 1개씩 갈수록 1시간씩 느려지고 동쪽으로 1개씩 갈수록 1시간씩 빨라지죠. 후아~, 이게 잘못 되면 온 세계의 시간이 잘못 되기 때문에 정말 조심해서 만들어야 한답니다. 이 선을 처음 만 ...
- “이리 와 이리 와”좀비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소제시작]1.“이리 와 이리 와”좀비 바퀴벌레[소제끝] 내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는 살아 있는 시체, 좀비. 이스라엘 벤규리온대학교 프레데릭 리버샛 교수가 ‘암풀렉스 콤프레사’라는 말벌이 일명 ‘좀비 바퀴벌레 ... 사이에는 어떤 지층이 있는지 모른다. 지층 구조에 따라 해저에 터널을 뚫을지, 해저 지각 위에 거대한 관 모양의 터널을 놓을지 결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이 센서들은 자동차의 사방을 감지해서 차 뒤쪽에 있는 중앙통합처리장치로 보내. 여기서 들어온 정보를 처리해서 자동차의 움직임을 결정해. 원래 무인 자동차는 1990년부터 미국국방고등연구국(DARPA)에서 연구를 시작했어. 그러다가 좀 더 활발한 연구를 위해 2004년부터 무인 자동차 대회를 열기 시작했고, 그러면서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지게 됐지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안에 비해 압력이 낮기 때문에 뿜어 나온 작은 물방울들은 부피가 늘어나면서 온도가 내려가. 이걸 ‘단열팽창’이라고 해. 그 결과 결정핵이 만들어지고, 여기에 계속 물방울이 달라붙어 눈이 만들어지는 거야. 이히~, 이제 본격적으로 인공눈을 만들어 볼까? 돌아라, 고제트 만능 제설기! [소제시작]꽁꽁 얼리고, 활활 구워 버리겠다[소제끝] “루돌프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정확한 천문 관측 자료를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관측한 자료는 제자인 케플러가 물려받아 행성 운동의 세 법칙을 만드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1577년 나타난 대혜성을 관측해 혜성이 지구 대기 현상이 아니라 천체라는 것을 증명했다. [소제시작]사이언스 미랙속으로 시간여행[소제끝] 달에 태양광 발전소가 떴어요 {BIMG_r13}요즘 석 ...
- 랄랄라~ 고속도로가 노래를 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위해 아이디어를 낸 거죠. 2001년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랍니다. 올해 10월에 설치했으니 앞으로 그 효과를 지켜보고 더 늘릴지 결정할 예정이라고 해요.” “또 잠깐! 달리는 속도에 따라 노래가 빨라지기도 하고 느려지기도 하는 것 같아요. 왜 그런 거죠?” “역시 청각이 뛰어나시군요. 맞아요.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시속 100㎞를 기준 ...
- [천기누설 날름 도사]'혀'씨의 고민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맛을 느끼는 구조는 대부분 비슷해요. 하지만 입맛이란 맛을 느끼는 것뿐만 아니라 음식의 냄새, 색깔, 질감 등을 모두 고려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거예요. 하지만 쓴맛은 조금 달라요. 쓴맛을 느끼는 정도의 차이는 분명하답니다.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이유가 크다고 해요. 의문 3) 어리광쟁이 혀 씨 - 달면 ...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기업이 나서지 않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어요. 그런데 대우조선해양이라는 회사가 이 사업에 참여해 5년 동안 200억 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하면서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어요. 위그선은 물 위를 몇 m 떠서 나는 배예요. 지난 7월 28일 경상남도 당항만에서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작은 위그선이 처음 선을 보였죠. 앞으로 만들 대형 위그선은 길이 77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도움을 줄 수 있어.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100년 후인 2057년에 우주가 전쟁터가 될지, 아니면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곳이 될지 결정하는 건 바로 여러분의 몫이야. 여러분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할게~. 우리나라는 몇 개의 인공위성을 쏘았을까? {BIMG_R11}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은 1992년 발사한 소형 과학위성 우리별1호다.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2)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오늘날 발전된 문명을 이룰 수도 있었고. 하지만 창간 생일 파티에는 3명의 과학자를 초대해야만 해. 끄응~.(한 시간째 고민 중) 좋아, 결정했어! 시간초월초대장을 받을 사람은…, 바로 ‘미래의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중에서도 미래에 과학자가 될 사람이 있겠지? 그 친구가 바로 이 자리의 주인공인 거지. “뎅~ 뎅~!” 어? 자격루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