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갈색 판다 탄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가 순서대로 배열돼 있지요. 연구팀은 DNA에서 털색과 피부색을
결정
하는 ‘Bace2’ 유전자의 일부 염기가 갈색 털 판다에게는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자이언트 판다는 부모 판다에게서 Bace2 유전자를 각각 한 개씩 받습니다. 연구팀은 “부모 모두에게서 일부 염기가 빠진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내가 그린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린다면?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탄생하려면 많은 과정이 필요해요. 그중에서도 중요한 건 바로 자동차의 모습을
결정
짓는 ‘자동차 디자인’이지요. 어린이 기자가 자동차 디자이너를 만나 자동차 디자인의 비법을 물어봤어요. 김명준(8) 어린이 기자가 서울시 강남구에 있는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에 들어서자, 번쩍번쩍 ... ...
놀이터에서 뭐 하고 놀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대체되기도 해요. 지정우 소장은 “놀이터를 이용하는 주체인 어린이는 놀이터와 관련된
결정
에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 놀이터의 우선순위가 밀리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전염병 전파 예측은 가장 합리적인
결정
을 내리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는 정책
결정
을 내릴 때에도 주요한 근거가 된다. 우리 정부도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수립할 때 코로나19 수리모델링 TF가 발행한 보고서를 활용한 바 있다. 예를 들어 수학 모형을 이용하면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서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암흑에너지 모두 아직 그 정체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현재 우주의 모습을 만드는 데
결정
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우주의 구성 요소다. 어둠에 가려진 95%를 밝혀야 비로소 우주 전체를 포괄하는 근본적인 법칙을 찾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은 특히나 암흑물질의 후보 ‘액시온’과 연이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다. 라부아지에의 산소 이론은 오류투성이였다. 그중
결정
적인 오류는 ‘산성을 만든다’는 산소라는 단어 자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소와 산성이 관련이 없다는 것은 산소가 들어있지 않은 산인 ‘염산(HCl)’을 통해서도 확인되지만, 이에 대해 라부아지에는 ... ...
“과학자가 긍지를 느끼는 연구 생태계 만들고파”_황정아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런데 궁극적으로는 국회에서 사실에 기반한 합리적 의사
결정
이 이뤄지는 것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더 많은 과학자들이 정계와 공직으로 진출하게 만드는 롤모델이 됐으면 합니다 ... ...
[특집] 개코와 똑같다?! 복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힘들 정도로 비슷하다”며 “다만 여러 털 색깔을 지닌 동물을 복제할 경우, 색을
결정
하는 요인이 핵 외에 다른 곳에도 있어 털 색이 다를 수 있다”고 말했어요. 반려동물을 복제하려면 6000~8000만 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반려동물을 복제하려는 사람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 ... ...
[전지적 독자 시점] “머지않을 미래에 실현될 것만 같은 기대감이 있어요”_김순용 독자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전독위 분들의 엄청난 관심에 부응하기 위해 뉴럴링크 기사는 특집으로
결정
됐습니다. 이번 호도 재밌게 즐겨주세요! 1위를 기획 기사로 제작 이예정_딥페이크 잡는 AI 선택기술이 만드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들도 많아진 듯 해요. 그런 의미에서 인공지능의 숨겨진 면을 다루는 딥페이크 잡는 AI ... ...
수학은 평화지킴이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 y와 a > b일 경우 b/a의 비율이 y/x의 비율 제곱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승리하는 쪽이
결정
된다. 란체스터 법칙이 잘 맞아떨어진 사례도 있지만, 실제 전쟁에는 변수가 많아 이 법칙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해서 란체스터 법칙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건 아니다. 이런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