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소원을 생각 다 못 했으니까.” 아리는 이틀 후 삼성역 근처 24시간 카페로 나가는 길에도 결정짓지 못한 채였다. 돈을 소원으로 빌 수는 없다고 했으므로, 좋은 곳에 취직되게 해 달라고 비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무난한 답이었지만 그렇다고 단 하나뿐인 소원으로 취직을 말하기는 싫었다.그 외에 ... ...
- 최고의 타자 결정하는 6가지 지표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세이버메트릭스에서 타자를 평가하는 지표는 다양하다. 한화 이글스 노시환 선수의 KBO 2023시즌 기록을 바탕으로 가치 있는 타자를 평가하는 지표를 알아보자. 여기서 각 기록과 지표는 ‘KBO STATS’에 나온 정보다. 타율 타자가 타석에 들어선 횟수 중 안타의 개수를 소수점 세 번째 자리까지 나타 ... ...
- 최고의 투수결정하는 4가지 지표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번에는 투수를 평가하는 지표다. 2023시즌 다승과 평균자책점, 삼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해 최고 투수로 선정된 전 NC 다이노스 에릭 페디 선수의 기록을 통해 투수 평가 지표를 알아보자. ERA(평균자책점) 투수가 한 게임(9이닝)당 자기 책임으로 내준 실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지표다. 투수에게 가 ... ...
- 전략의 신 1. 최강 타순인지 알려주는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행동이 결정된다는 얘기다. 오늘의 상태에서 일정한 확률로 계산되어 내일의 상태가 결정된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바로 앞의 상황만이 뒤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1차 마르코프 연쇄’라고 한다. ‘2차 마르코프 연쇄’는 어제는 물론 그제의 일까지 오늘의 상태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것을 말한다. ... ...
- [기획] 콩코드가 먼저 겪은 초음속 여객의 난관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적자에 시달렸다. 2000년 프랑스 파리에서 발생한 추락 사고는 콩코드의 쇠락을 부추긴 결정타였고, 결국 안전성까지 도마 위에 올라 2003년 퇴역하고 말았다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수집 면적이다. 2012년, 국제 SKA 기구는 남아공 카루과 호주 머치슨 사막을 SKA 건설지로 결정했다. 이 두 지역은 100km 이상의 넓고 평탄한 지형, 건조한 기후 그리고 낮은 인구 밀도 등 거대한 전파 간섭계 어레이 건설을 위한 지구상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우리은하 중심을 잘 볼 수 있는 ... ...
- [논문탐독] 유전질환 스위치 OFF 후성유전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히스톤 단백질 변형은 히스톤 단백질의 아세틸화나 메틸화로 염색체의 응축 정도를 결정해, 유전자의 발현 빈도를 조절하죠. 이렇듯 후성유전학은 주어진 환경에 맞게 세포 상태를 바꾸는 스위치입니다. 이 스위치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거나, 아예 유전자 발현으로 생성된 단백질의 기능 자체를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리걸테크 기업들은 앞다퉈 AI 판사변호사 개발에 뛰어들었다. 인간 판사처럼 의사 결정을 하는 AI는 먼 미래의 일이지만, 판사를 위한 법률 정보를 제공하고 판결문 작성을 보조하는 AI는 현재 기술에서 개발이 어렵지 않다. 또한 일반 시민들의 나홀로 소송 절차를 도와주는 다양한 재판 도우미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적이 있습니다. 유전자 검사와 실제 경험의 불일치가 일어나는 이유는,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데는 유전자만큼 ‘환경’ 요인도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유전적 요인이 기여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인 ‘유전율’이 이를 잘 보여줍니다. 젠톡을 운영하는 마크로젠 측은 “유전율이란, 해당 특성이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쌓기 문제는 선물 포장 말고도 훨씬 넓게 응용됩니다. 앞서 봤던 것처럼 구 쌓기 문제는 결정학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논의됐습니다. 만약 이 구들이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면 어떨까요? 이렇게 위치에너지를 반영해 구 쌓기 문제를 일반화한 ‘보편 격자 문제’는 수학과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