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받았던 이공계 학생으로서의 ‘훈련’이 이 시기부터 업무적으로 빠르게 성장한 결정적인 힘이 됐습니다. 컨설팅의 ‘경영문제 해결’과 수학의 ‘정의의 증명’은 닮은 면이 있습니다. ❶주어진 상황을 가장 명료하게 설명하는 전제와 틀, 즉 프레임워크부터 정의합니다. ❷이 프레임워크 안에서 ...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원자와 분자, 그리고 이것이 모여 구성된 물질의 결합력이 다양한 물질의 특성을 결정하는 원리를 네오알키미스트의 흥미로운 사례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학동아의 예리한 독자들이 눈치챘듯 네오알키미스트는 2023년 상반기에 연재된 ‘초(超)재료’에서 시작했다. 저자는 당시 지면의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쌓기 문제는 선물 포장 말고도 훨씬 넓게 응용됩니다. 앞서 봤던 것처럼 구 쌓기 문제는 결정학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논의됐습니다. 만약 이 구들이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면 어떨까요? 이렇게 위치에너지를 반영해 구 쌓기 문제를 일반화한 ‘보편 격자 문제’는 수학과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앤드루 와일스가 증명했는데, 증명 과정에서 소피 제르맹 소수에 관한 연구가 해결의 결정적인 힌트를 제공했다. 알려진 소피 제르맹 소수 가운데 가장 큰 수는 2016년 2월에 발견한 무려 388342자리의2618163402417×21290000 - 1이다. 소피 제르맹 소수는 무한할 거로 추측되나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더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적이 있습니다. 유전자 검사와 실제 경험의 불일치가 일어나는 이유는,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데는 유전자만큼 ‘환경’ 요인도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유전적 요인이 기여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인 ‘유전율’이 이를 잘 보여줍니다. 젠톡을 운영하는 마크로젠 측은 “유전율이란, 해당 특성이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움직입니다. 꼬리 지느러미로 물을 밀어내 앞으로 나아가고, 가슴 지느러미로 방향을 결정하죠. 이번에 주목할 부분은 고래의 가슴 지느러미와 그곳에 난 혹의 관계입니다. 지느러미는 주변 유체의 흐름을 바꾸며 힘을 만듭니다. 고래 지느러미 주변의 유체는 바로 물입니다. 지느러미가 유체와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연구진에 합류했으며, 랜달은 프랭클린에게 부서 내에서 오직 그녀만이 DNA 구조에 관한 결정학적 연구를 수행할 것처럼 알렸다. 따라서 프랭클린은 비록 연구소 소속이지만 자신이 DNA 구조의 X선 회절 분석에 관한 독립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연구 책임자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생물물리부서의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표정의 제임스와 행복한 웃음을 짓고 있는 미래의 내 모습 사이에서, 난 그 순간까지도 결정을 못 내리고 갈팡질팡했다‘탕!’ 스코틀랜드 포트 윌리엄 중앙 광장 한복판에 쓸쓸한 총성 한 발이 울려 퍼졌다. 2125년“데이비드 요원님. 국장님이 뵙자고 하십니다.” 내가 속한 수사팀 2부의 비서가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모델’을 만들고 있어요. 호우, 강풍, 폭염 상황이 예상될 때 예보관들이 쓰는 의사결정 과정을 모델에 넣어 AI가 24시간 인지 판단을 하도록 하는 거죠. 예를 들어 AI가 3일 내로 특정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생할 가능성을 판단하면, 지도에 이를 표시한 뒤 근거를 예보관에게 줍니다. 예보관이 보는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수업을 듣고, 수업 과제를 하고, 시험을 쳐야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공부와 연구의 결정적인 차이점 크고 작은 산을 건너야 하는 대학원에서 하이라이트는 ‘연구’다. 연구는 공부와 다르다. 작가는 “공부는 정답이 무엇인지 알아가는 과정이라면, 연구는 정답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