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칼리지
대학
전문대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스페셜
"
전문대학
"(으)로 총 1,22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우리회사의 연매출은 50억달러(약 6조원)에 달한다. 기초과학 역량이 높기 때문이 아니다. 팔릴만한 아이디어를 발 빠르게 상품화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선 사업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구하는 것 같다. 우리는 연구프로젝트가 시작되면 3개월 주기로 타당성을 조사해 계속 여부를 결정한다 ... ...
“미국에 바이오 정책센터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미 서부지역 한인 생명과학기술자들의 모임이 이틀 연속 진행됐다. 포스터(Foster) 시 크라운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60여명의 재미과학자들이 참석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한국의 기초과학 연구역량은 탄탄하다. 세계 유력 학술지에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 ... ...
“한국에 바이오 기회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미국 생명과학분야 대학연구원 및 박사과정 학생들의 모임인 콜리스(KOLIS)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17일(현지시간) 오후 공동 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미국 서부지역 한국인 생명과학자과 한국의 바이오 정책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한미 양국의 ... ...
“바이오는 ‘타이밍’… 산업 흐름 알아야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제3회 BT 전문가 좌담회가 7일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의 사회로 서울회의실에서 열렸다. 참석자들은 "최근 바이오를 바라보는 시각과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으며, 우리의 미래 바이오산업에 충분한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고 입을 모았다. 서영표 동아사이언스 기자 sypyo@donga.com “바이오는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의사와 과학자가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부터 ‘의사(MD)-이공계 박사(Ph.D) 협력연구 프로그램’에 약 3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공계 생명과학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성과를 임상에 적용해 보고 싶어 하지만 접근이 어려운 게 사실이에요. 인체 조직 같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정책입안 현장에 BT 전문가가 없다. 현실을 반영한 정책이 나올리 만무하다. 사람이 없는 것이 아니다. 통일된 목소리가 없다.” 9일 포스텍에서 진행된 ‘제7회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에 한나라당 배은희 의원이 주제발표자로 나섰다. 그는 정책입안 현장에서 부터 BT분야 전문가들이 적극적으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페니실린 발견은 영국이 했지만 상용화에 성공한 것은 미국이다. 구연산을 팔던 화이자는 페니실린 대량 생산에 성공해 세계 1위 기업이 됐다. 화이자의 뒤에는 원자폭탄 개발에 맞먹는 투자를 감행한 미국 정부가 뒤에 있었다. 세계 1위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의 투자와 조정역할이 무엇보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생명과학은 연구성과가 사업으로 이어지기까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 정부기관 승인을 거쳐야하는 등 중간 단계가 많습니다. ‘인큐베이션’ 기간이 길어서 오랫동안 기다려줘야 하는 분야죠.” 1998년 ‘여성 생명과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의 1회 수상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지난해 말 한국인의 유전체(게놈)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피 검사 한번으로 앞으로 자신에게 발생할지 모를 질병을 예측하는 시대가 오게 됐다고 당시 떠들썩했다.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를 열 수 있는 유전체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지금, 연구를 주도한 김성진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 5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서울회의소에서 열린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대학, 연구소에서 나온 기초연구 결과를 신약개발 사업과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정부 차원에서 기업의 부담을 덜어 줄 ‘시스템‘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기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