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문대학"(으)로 총 1,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6월 20일 미국 뉴욕 록펠러의대 세미나실에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NYKB의 좌담회가 열렸다. 대덕넷 제공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지난달 20일 미국 뉴욕 록펠러의대 세미나실에서 뉴욕한인생명과학자협회(NYKB·New York Korean Biologists) 연구자와 ‘바이오강국을 향한 과제’를 주제로 좌담회를 ...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동아사이언스 l2012.07.02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KASBP는 6월 18일 미국 보스톤에서 ‘한미FTA와 세계화‘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세계회를 위해서는 해야할 것들이 무척 많습니다. 우선 해외 한인 과학자들을 적극 활용해야죠. 또, 아이디어 중심의 벤처 육성과 전임상·임상을 위한 연구자도 ...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동아사이언스 l2012.06.26
- “생명과학기술 육성, 첨단 유전자 과학, 신약개발…. 다 좋은 말입니다. 이런 정책도 꼭 필요합니다. 하지만 중소 벤처기업이 원하는 바이오 정책은 따로 있습니다. 기업친화적인 생명과학 정책을 펴려면 먼저 시장을 둘러봐야 합니다.” ‘생명과학’분야는 농업부터 인간 유전자 연구까지 넓지 ...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동아사이언스 l2012.06.12
- “2020년까지 세계적 신약 10개를 개발하고 글로벌 기업 12개를 키워 세계 7대 제약강국으로 도약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안도걸(47·사진)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 선진화를 위해선 ‘선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의 생명공학 기술은 세계 8위에 달하지만 ...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2.04.23
- “인력과 천연자원이 풍부한 동남아시아, 제약 기술이 뛰어난 선진국, 이 사이에서 한국은 뭘 할 수 있을까요. 제 생각엔 ‘그린 바이오’, 즉 농수산식품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18일 서울 동작구 신대방2동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만난 송종국 원장(56·사진)은 앞으로 전략적으로 투자했 ... ...
-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04.11
- 1993년에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이 수립된 뒤 우리나라 생명공학산업 규모는 급속도로 커졌다. 지난해 마무리 된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1단계’에 따르면 2006년에는 8,270억 원에 머물던 정부 연구개발 투자가 2010년에는 약 두 배인 1조5175억 원에 이를 정도다. 올해부터 시작되는 ‘ ... ...
- “단기 성과만 봐서는 바이오산업 성장 어렵다”동아사이언스 l2012.03.26
- “산림자원을 이용한 생명공학은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생명공학을 이용해 경제수를 육성하거나, 효능이 좋은 의약품을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박종호 산림청 산림자원국장은 산림자원을 이용한 바이오 산업은 ‘미개척 블루오션’이라고 강조했다.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덮여있는 우리나 ...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2.03.19
- 이시종 충청북도 도지사. 이 도지사는 충북이 우리나라 생명산업을 선도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바이오’에 대한 인식조차 없던 20여 년 전부터 충청북도는 생명공학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주목했습니다. ‘오송바이오 밸리’는 싱가포르 ‘바이오폴리스’, 미국 ‘몽고메리카운티’를 능 ...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동아사이언스 l2012.03.07
- 양은경 KIST 테라그노시스연구단장 “바이오 분야의 연구에서는 ‘코웍(co-work)’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다른 분야도 그렇겠지만 생명과학 분야는 복잡해서 혼자서 연구해 좋은 성과를 내기란 쉽지 않습니다. 관련 연구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좋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죠.” 양은경 한국과 ...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동아사이언스 l2012.02.13
-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를 볼 것 같으면 기초연구쪽은 급성장했지만 산업화는 더뎠습니다. 결국 바이오 분야에서 우수 인력을 배출해도 갈 곳이 부족한 상황으로 이어져 바이오 산업 전체가 지체된 것이죠. 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려면 기존의 틀을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성광(52·사진)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