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칼리지
대학
전문대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스페셜
"
전문대학
"(으)로 총 1,226건 검색되었습니다.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개발(R&D)을 할 땐 사업(business) 감각도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런 개념을 흔히 ‘R&BD’라고들 부릅니다. 중요한 개념이지만 여기서도 뭔가 빠진 게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죠. 소위 일류과학자일수록 친구가 많습니다. 진짜 중요한 것은 연계(Connection) 개념을 중 ... ...
“국가 R&D 효율 높이기… 정책연구시스템부터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05
왼쪽부터 정선양 교수, 현병환 센터장, 송종국 선임연구위원, 김정흠 교학처장. 사진 변태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xrockism@donga.com“생명과학 분야 연구개발사업은 축구경기와 같다. 심판(정부)은 경기를 운영하고, 감독(기관장)은 선수를 활용해 좋은 결과를 내야 한다. 지금은 감독이 각 팀의 인선까지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2.08
고급 인력 육성이 안 되고 있다는 점도 들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는 농업에 특화된
전문대학
이 거의 사라졌습니다. 농촌진흥청 산하에 농업대를 만들어도 대학원생이 오지 않습니다. 서울대에서는 진흥청에서 연구 사업을 수주한 뒤 이를 통해 석사와 박사를 길러내 이들이 다시 농진청으로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0.01.25
“바이오기술(BT)을 이용한 융·복합 연구가 성공하려면 과학자들이 좀더 R&D에 대한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융·복합 연구는 진리를 탐구하는 자연과학과는 다릅니다.” 이귀로 국과과학기술위원회 첨단융·복합전문위원회 위원장은 20일 기자와 만나 “생명과학자들이 훨씬 더 뚜렷한 목적을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휴대폰으로 심근경색 진단을 테스트하는 정봉현 “신약개발 같은 장기사업도 물론 중요하죠. 하지만 너도 나도 그것만 할 수는 없지 않습니까? 생명공학기술을 조금만 응용하면 다양한 시장개척이 가능합니다.” 정봉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장은 바이오융복합기술 연구에 관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오창과 오송이 바이오의약 분야 특성화 도시가 되려면 기업의 생산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서야 합니다. 관심 분야가 겹치지 않으면 시너지 효과는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기업 연구소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형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총괄본부 ... ...
R&D전쟁 잘 하려면 ‘전략지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27
우리나라 출연연과 기업 등에서 나오는 특허의 인용 건수는 선진국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연구개발(R&D) 결과로 논문과 특허가 무수히 쏟아져 나와도 크게 활용되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이를 밝히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기술혁신학회와 과학기술정책평가원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이상민 의원.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민주주의란 서로 ‘합의’하는 것입니다. 토론하고 논의해 합당하면서도 통일된 의견을 만들어 내는 것이지요. 올바른 생명공학 정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와 국회는 물론, 과학기술자들도 서로 ‘이야기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지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한용만 KAIST 교수는 “줄기세포연구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인력양성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미국은 줄기세포연구에 매년 2억 달러(약 2450억원)의 연구비를 쏟아 붓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총 연구비는 400억원 밖에 안 된다. 적극적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이세경 UST 총장“미래는 융합이 대세입니다. 특히 생명공학 분야가 그렇습니다. 신약개발 등 연구할 것은 많지만, 막상 제품화 되면 기계, 화학 전공자들의 할일이 더 많아집니다. 결국 융복합에 강한 인재가 바이오산업에 강할 수밖에 없지요.” 이세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총장은 생명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