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실리콘밸리와 할리우드를 접목한 CNET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대열에 합류했다. 게다가 USA네트워크는 CNET 센트럴을 방영해달라는 요구에도 응했다.
미국
전역 6천7백만 가구에 CNET 센트럴이 방송되는 계기였으며 처음으로 CNET이라는 브랜드가 널리 알려지는 순간이기도 했다.이에 힘을 얻은 CNET은 2개월 후인 1995년 6월에 웹서비스인 CNET.com을, 11월에는 CNET ... ...
우주 그리고 인간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수 있다. '은하진화탐사선: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망원경 계획'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미국
의 NASA.프랑스의 우주천문학 연구소와 함께 우주의 나이를 밝히는데 참여하게 된 차세대자외선망원경계획(GALEX)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예정이다. 세계수정란이식학회는 복제양 돌리가 데뷔했던 최고 권위의 학회로 내년엔
미국
네브라스카에서 열린다. 백두산호랑이 복제 연구 자체가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그만큼 학문적으로 가치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야생에서의 생존은 미지수그러나 백두산호랑이 복제에 대한 비판적인 ... ...
1. 신기술이 제조해 온 신기록의 변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하고 앞·뒷바퀴는 같은 크기여야 하며 핸들은 곧바로 선 채 잡을 수 있을 정도여야 했다.
미국
은 이런 규정에 벗어나지 않은 채 최대한 개량된 '뉴 슈퍼바이크'를 만들어 사용했다.겉보기에는 과거의 자전거와 비슷해 보이지만 실크 타이어는 18kg/㎠정도로 공기압을 늘렸고 프레임은 이전보다 더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양성자 속의 쿼크라는 소립자들까지 훌륭하게 설명됐다.
미국
이나 유럽에 있는 거대한 가속기를 통해 쿼크 등 소립자들의 성질을 알아본 결과 양자론이 인간이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까지 매우 잘 맞음을 알게 됐다.확률적 특성 때문에 가능한 초전도체와 ... ...
호킹이 연구하는 최신 막 우주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뜻에서 Mother이론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M이론은 우주론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98년
미국
의 물리학자 래덜(프린스턴대)과 선드럼(스탠퍼드대)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가 11차원 이상의 다차원 시공간에 들어있는 4차원 막일 것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이른바 '막 우주론'이다.예를 들면 3차원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내놨다. 우리나라에도 이 작품들이 모두 번역, 소개돼 있다.한편 라마와의 랑데부는 현재
미국
에서 영화 제작을 추진중인데,감독은 '에일리언3'와 '세븐' '파이트클럽'등을 연출했던 데이빗 핀처가 맡을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 ...
미국
최첨단 과학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우주의 모습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가 올해
미국
뉴욕에 등장해 현장을 찾아갔다.또한
미국
에서는 왜 '체험하는 과학'의 열풍이 불고 있는지도 알아 보았다. ...
① 광속 우주선 타고 천체쇼 관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우주를 만들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체적으로 가상의 우주를 만들기 위해
미국
슈퍼컴퓨팅 센터까지 제작에 참여했다.이 우주쇼의 제작 책임자인 제임스 슈바이처는 “천문학자들조차 우주를 이런 식으로 광범위하게 체험해본 적이 없다”며 “우리는 처음으로 우주의 과학적 모델을 ... ...
나눗셈으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달력 개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그러나 세계력은 제네바 회의에서도 국제연합과 국제연맹에서도 채택되지 않았다.
미국
등 강대국이 찬성하지 않은 이유도 있지만, 일부 종교 단체의 반대가 거셌기 때문이다. 이유는 단 한가지 ‘공일’의 도입이었다. 이것은 안식일과 위배됐다. 공일을 받아들이면 7일마다 안식일이 되지 않는다 ... ...
이전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1164
1165
1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