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 반응속도와 평형 이동
과학동아
l
200812
일어나도록 돕는다. 효소는 대개 분자량이 2만g/몰 이상인 거대한 단백질 분자다.효소
표면
에는 특정한 기질만이 결합해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특징적인 구조와 화학적 성질을 가진 부분이 있다. 이를 활성화 자리(active site)라고 한다. 많은 효소의 활성화 자리는 매우 선택적이며 구조가 유사한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12
질소와 산소, 이산화탄소 모두에 대해 투과성이 좋아 대기에 거의 흡수되지 않고 지
표면
까지 도달한다. 그러나 장파인 지구 복사에너지는 질소나 산소에 대해서는 투과성이 좋으나 이산화탄소에 대해서는 투과성이 좋지 못해 선택적으로 흡수된다. 즉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지구 복사에너지를 ... ...
“뾰로롱~!”
표면
장력 줄이는 X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쪼이면 물 분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가면서 물 분자 사이의 수소결합이 영향을 받아
표면
장력이 줄어든다는 거죠. 실제로 동그란 물방울에 X선을 1시간 정도 쏘이자, 물방울이 서서히 퍼져 1000분의 1㎜ 두께의 물막이 되었다고 해요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l
200812
3차원 아바타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체를 입체적으로 스캔해야한다. 이때 스캐너는 인체
표면
을 작은 격자로 잘게 나눠 이를 수학적인 정보(메시 데이터)로 나타내는데, 이 데이터를 실제로 사용할만한 수준으로 간단하게 만들어야 한다. 애니메이션에서야 이 데이터를 모두 사용해 수주에서 길게는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12
대략 600℃의 고온에서 산소분자와 반응시켜 금속산화물(산화아연) 결정을 기판
표면
에 만드는 방법이다. 이때 기판을 어떻게 조작하느냐에 따라 나노막대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나노튜브가 나오기도 한다.“여기 빨갛게 달궈진 부분에 기판이 놓여 있습니다. 관을 통해 온 기체가 여기서 산소와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12
존재하는 수용체는 적혈구
표면
에 있는 당단백질처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세포
표면
에는 수많은 수용체가 존재하며 각 바이러스와 세균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혈액형을 나타내는 유전자와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할 때 결합하는 수용체의 유전자가 같은 염색체 상에 존재하고 이들이 ... ...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12
수분을 잘 흡수해
표면
이 끈적거린다. 때문에 잘 떨어지지 않는 미세먼지가 염화나트륨
표면
에 엉겨 붙는다. 먼지가 엉겨 붙은 염화나트륨을 청소기로 빨아들이면 카펫이 깨끗해진다. 염화나트륨을 이용하면 카펫뿐 아니라 먼지가 많이 묻은 인형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비닐봉지에 ... ...
피닉스, 화성에 발 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예정이지요.피닉스가 찍어 보낸 화성
표면
은 거칠고 황량해 보여요. 과학자들은 화성
표면
의 균열이 얼음이 얼고 녹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생긴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어요. 피닉스는 앞으로 얼음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30㎝ 정도 파내려갈 계획이랍니다. 앞으로 피닉스가 펼칠 활약을 ... ...
[천문우주]달먼지 콘크리트로 달기지 건설
과학동아
l
200811
NASA)은 2020년 달에 우주인을 다시 보낼 계획인데, 4명이 달
표면
에서 1주일을 지내는 게 목표다. 물론 NASA는 궁극적으로 사람이 달에 장기간 체류할 수 있는 기지를 건설하려고 한다.지구에서 가져간 재료로 달기지를 지으려면 비용이 많이 든다. 일부에서는 1kg의 재료를 달로 가져갈 때 5만 달러(약 650 ... ...
[재료과학]게코도마뱀 발바닥보다 접착력 큰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811
있을 때는 미끄러지지 않지만 걸음을 옮길 때는 쉽게 떨어지는 비밀을 찾았다. 발바닥
표면
에 촘촘히 박혀 있는 미세 털의 끝부분이 구부러져 있기 때문이다.즉 벽면과 닿는 부분은 털의 맨 끝이 아니라 구부러진 부분이다. 따라서 벽면과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중력)에는 저항력이 있지만 수직 방향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