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변화하는 모습에 주목한다. 부모 개체군이 다섯 사람으로 이뤄졌다고 하자(140쪽 그림). 이들의 평균 키는 170cm이다. 한 세대가 지난 뒤, 각자 낳은 자식들을 모두 데려와서 자식 개체군을 만든다(편의상 무성생식을 가정한다). 자식 개체군의 평균 키는 어떻게 될까?부모 개체군은 5명, 자식 개체군은 1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에너지가 큰 우주 방사선은 분열 후 지상으로 비처럼 쏟아져 내리기도 하지만(위 그림),대부분은 지구 대기에서 흡수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 ... ...
- 미션! 소파를 옮겨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레오 모저가 제시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제지만, 아직 미해결이다. 아래 그림을 보며 소파 움직이기 문제를 이해해 보자.지금까지는 거버가 제안한 도형이 가장 면적이 넓다. 그런데 최근 댄 로믹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캠퍼스 수학과 교수가 원래 문제를 변형한 문제의 새로운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남세균은 광합성 유전자를 이용해 훗날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진 광계1과 광계2(131쪽 그림 참조)를 분화시켰을 것이다. 또한 산소호흡 유전자를 이용해 광계2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산소 발생 복합체를 진화시켰을 것이다. 3. 산소호흡, 독자적으로 진화 한편 산소를 이용하는 세포호흡은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역할까지 밝혀냈다4).세포의 복제가 여러 번 진행되면 DNA의 말단은 일부 손실된다(왼쪽 그림). 만약 DNA 전체가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면 복제를 할 때마다 우리가 가진 유전정보가 조금씩 사라지게 된다. 텔로미어는 이를 막기 위한 완충제 같은 존재다. 텔로미어의 길이가 길면 그만큼 여러 번 세포를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여기에 나이를 제한하는 검문소를 중간에 넣으면, 통과할 수 있는 사람이 생길까(위 그림 참조).김 교수는 “중간에 새로운 걸 넣어봤자 남자 또는 여자만 통과시키는 양 끝의 검문소를 모두 통과해 길 끝에 갈 수 있는 사람은 없다”면서 “하지만 양자역학적인 관점에서 빛의 입자가 지나간다고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른 대머리 유럽계 남자가 미나에게 다가왔다. 그 동안 무슨 일을 겪었는지 척 봐도 그림이 그려졌다. 3,40년 동안 유럽 어딘가에서 유명한 사람 흉내를 내며 살았겠지. 모세나 찰스 다윈은 아닌 것 같고 십중팔구 레오나르도 다빈치다. 시간여행 초보자들은 어느 시간선을 가더라도 레오나르도 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달걀 도둑 ‘에그 머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알깨고’를 열기는 좀 힘들걸? 일명 ‘짤’ 그림이라고 들어 봤지? 알깨고가 그리는 그림을 잘 보고 그 뜻이 뭔지 알아맞혀야 한다고!” 썰렁홈즈, 아침형 인간이 되다?!썰렁홈즈의 활약으로 결국 ‘에그 머니나’가 훔쳐갔던달걀을 모두 양계장에 돌려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다음날 새벽,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배아는 정상적으로 발달했고, 태어난 쥐에서는 흰색과 검은색 털이 둘 다 자랐습니다(그림).과학 연구에 많이 쓰이는 돌연변이 쥐 역시도 어린 배아의 놀라운 적응력을 이용해 만들어집니다. 돌연변이 쥐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배아줄기세포에서 연구 주제인 유전자를 변형시킨 뒤, 이것을 수정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의 사무실 한쪽 벽면을 차지하고 있는 TV에는 희한한 그림이 띄워져 있었다. 편평한 금속판 위에 작은 나뭇가지 같기도 하고 솔잎 같기도 한 것이 박혀 있었다.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물었다. “수소에너지 연구를 하신다고 들었는데요. 저 나무들은 뭔가요?” 장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