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반도체 산업 세계 최대-기술자립이 숙제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설계 인력이 없어서 ASIC 등을 제대로 생산하지 못한다.반도체의 생명은 설계에 달렸다. 돌
덩어리
인 실리콘에 특별한 기능을 부과해 생명을 불어넣는 것이 설계다. 하지만 국내에는 이런 '반도체 조물주'가 없다. 그래서 ASIC보다는 단순 메모리 분야에 치우치고 있는 것이다.한국 반도체 산업의 또다른 ... ...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증거들도 있다. 예를들어 1천5백만년 전 독일 리즈(Ries)에 충돌한 운석은 거대한 바위
덩어리
를 1백㎞ 밖으로 날렸으며 충격에 용해된 '암석 안개'가 수백㎞까지 확산되었다. 그러나 인근에 살던 포유류 집단에 조차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1883년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타우섬에서 일어났던 화산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은하를 형성할 정도로 충분히 뭉쳐지지 않는다. 반면에 서서히 움직이면서 재빨리
덩어리
를 만드는 차가운 암흑물질은 많은 성단을 만들 것이다.심지어 뉴트리노와 차가운 암흑물질을 1:2로 혼합한 것도 컴퓨터 모의실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그 혼합물은 우주 역사에 대해 최근의 관측결과가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크게 보이는 것이 대마젤란이고 우측의 작은 것이 소마젤란이다. 맨눈으로는 구름
덩어리
처럼 보이지만 망원경 속에서는 많은 별들이 모인 은하 집단이다 ... ...
2 '과학자 우대' 옛말, 행정눈치보는 샐러리맨 전락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각 분야에서 한국 최고를 자부하는 '자존심
덩어리
'들이 그린 자화상은 암울한 회색 톤이다. 작년 과학기술노동조합 협의회(의장 고영주)의 조사에 따르면 연구소 종사자의 70% 이상이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수치는 호전되기는 커녕 올 초 정부가 ... ...
150억년 우주 역사 한눈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보이지 않고, 형태가 비대칭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활발한 별탄생 활동을 의미하는 밝은
덩어리
들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타원은하는 나선은하만큼 커다란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시간이 오래 될수록 타원은하와 나선은하의 형태가 비슷해진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다 .④ 가장 오른쪽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자아가 전적으로 수동적인 것으로만 주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도구제작은 한
덩어리
의 무정형(無定形)의 돌 속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형상을 발견하는 작업이다. 이것은 대상의 침투를 저지하는 소극적 과정이 아니라 대상속에 침투해 들어가는 능동적 과정이다.이제 자아가 타자 아닌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점점 더워져, 주변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위로 상승한다. 상승하는 공기
덩어리
는 위로 올라감에 따라 응결하게 된다. 이때 잠열이 발생해 상승하는 공기에 추가 에너지를 제공, 더욱 더 상승하게 된다. 이것을 대류불안정이라고 한다.열대 해양상의 대기는 상승하는 공기를 보충하기 ... ...
허블 망원경 최신 우주 통신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가스층들로 겹쳐 있고, 빠른 속도로 분출하는 제트와 함께 충격파에 의해서 생긴 가스
덩어리
들도 발견된다. 성운의 나이는 대략 1천년으로 추정. 수명을 다한 별의 역정을 고스란히 간직한 '화석'으로 별의 진화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표본이 된다.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사진에서 보이는 ... ...
4 눈결정의 미학은 온도·수증기 합작품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즉시 얼어 공모양의 얼음결정이 된다. 이것이 눈 결정의 씨앗이다.이 둥근 모양의 얼음
덩어리
는 주위의 과포화수증기를 포획하여 성장한다. (그림1)은 -15℃의 과포화 수증기 속에서 지름 약 30μ의 구상 단결정이 성장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해가는 모습을 관찰한 예이다. 처음에는 공 모양이지만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