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발사체를 날리는 힘 연료!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따라 2000년대에는 1,000만 원까지 줄어들었고, 최근 스페이스X 등의 민간 우주 산업이 시작되면서 100만 원대까지 감소했지요. 발사체에서 가장 많은 무게를 차지하는 것은 엔진도 제어 장치도 아닌 ‘연료’예요! 누리호의 무게는 총 200t 정도인데 이 중 연료의 무게가 무려 175t(약 88%)이나 되거든요. ...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점프맵 만들기 4. 체크 포인트로 게임 난이도 조절하기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오늘은 특정 발판을 밟으면, 그 발판에서 다시 게임이 시작되는 ‘체크 포인트’를 만들어 볼게요! 이 기능이 없으면 매번 게임을 처음부터 시작해야 해서 플레이어가 게임에 흥미를 잃을 수 있어요.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문제를 보게 됐고, ‘이 문제야말로 내가 찾는 순수수학이다!’라고 생각해 폴리매스를 시작하게 됐어요. Q 폴리매스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폴리매스 문제를 풀수록 제 자신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느껴요. 폴리매스에는 수학적으로 깊고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도록 하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1화. 마누팩토 행성의 프로보, 프로보, 또 프로보 ...?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안 고쳤는데?”수십 대의 로봇이 이번에는 또 다른 존재가 된 것처럼 한목소리로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딱지는 온몸에 소름이 돋고, 등에 식은땀이 흘렀습니다.‘이게 무슨 일이야? 빨리 프로보를 찾아야겠어!’ 프로보와 똑같이 생긴 로봇들이 이상하게 굴고 있어! 진짜 프로보는 어디에 있지? ... ...
- 휴가철 프랑스행 비행기, 유채꽃으로 만든 바이오항공유 써볼까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방안이 떠올랐다. 그렇게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AF톁ustainable Aviation Fuel)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SAF는 식물성 기름, 해조류, 폐지 등 친환경 원료를 이용해 만든 항공유로, 바이오항공유가 대표적이다. 특히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항공유는 기존 항공유를 이용할 때보다 탄소배출량을 최대 82%까지 ... ...
- 6년 만에 돌아온 기후나선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대부분 옅은 파란색이나 흰색을 띤다. 그런데 1990년대에 이르자 점차 붉게 물들기 시작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자 온도가 올라가며 코일의 지름이 점차 커졌고, 빨간색도 짙어졌다. 지구온난화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GISS는 “인간 활동으로 인해 지구 온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 ...
- [특집] 위기의 원인은 공급, 수요, 배분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수요도 늘고 있다. 또한 곡물을 산업자원으로도 활용하면서 한정된 식량을 두고 경쟁이 시작됐다. 최근에는 불평등한 식량 배분이 식량 위기의 가장 큰 이유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현재 우리에게 닥친 식량 문제의 원인을 공급과 수요, 배분의 관점에서 살펴봤다. ▲ 우리에게 닥친 식량 위기는 ... ...
- [융복합@파트너] 우리 몸속의 시계, 일주기 리듬으로 더 나은 사회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무엇이길래 내 인생에 이렇게 지장을 주는 걸까. 이런 고민이 일주기 리듬에 대한 관심의 시작이었죠.” 동물 행동과 일주기 생체시계 연구실을 이끄는 최한경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교수는 일주기 리듬을 연구하게 된 계기를 묻는 질문에 자신의 경험담으로 답했다. 그의 관심 분야는 ... ...
- [수학뉴스] 수학의 가장 먼 두 분야를 연결한 수학자 아벨상 수상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석좌교수 수학 세미나’를 기획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초대된 수학자 한 명이 강의를 시작하면 학생들은 중간에 계속 질문을 할 수 있는 세미나지요. 시간 제한이 없어서 보통 3시간 이상 강의가 이뤄지는데, 최대 기록은 무려 6시간 30분입니다. 설리번 교수는 앞으로 유체 흐름을 위상수학의 ... ...
- [특집] 수학자 러셀 수학을 논리 위에 세우다수학동아 l2022년 05호
- 했어요. 러셀은 ‘수학=논리학’이라는 생각으로 수학을 논리학 위에 세우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년 뒤 집합으로 수학의 체계를 완성하려 했던 고틀로프 프레게의 논리에 모순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 내용을 편지에 적어 프레게에게 알립니다. 당시의 수학계 상황을 살펴보면,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