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자 러셀 수학을 논리 위에 세우다수학동아 l2022년 05호
- 했어요. 러셀은 ‘수학=논리학’이라는 생각으로 수학을 논리학 위에 세우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년 뒤 집합으로 수학의 체계를 완성하려 했던 고틀로프 프레게의 논리에 모순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 내용을 편지에 적어 프레게에게 알립니다. 당시의 수학계 상황을 살펴보면,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예를 들면 ‘제곱수를 4로 나누면 0과 1밖에 안 나온다’는 명제가 있어요. 여기에서 시작해 ‘제곱수 2개의 합이 과연 102가 될 수 있을까?’ 같은 문제를 생각해 낼 수 있지요. 아예 다양한 연구 자료를 조사해서 새로운 문제를 만들 때도 있어요. 폴리매스 문제를 낼 때는 학생들이 계속 도전하고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이두희 멋쟁이사자처럼 대표 “NFT 게임으로 전 세계 1등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결과물도 같은 맥락으로 만들게 됐어요.”2013년부터 10년째 운영 중인 멋쟁이사자처럼의 시작도 비슷했다. 비전공자들도 코딩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에서 가볍게 출발했다. 다양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였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왔다.“예를 들어 건축가들은 건물의 건축 기법을 ... ...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높아 입자들이 뭉쳐 원자를 형성하지도 못할 정도였다. 이후 우주는 단열 팽창하며 식기 시작한다. 아주 높은 온도를 가지던 한 점이 외부와 열에너지를 교환하지 않고 부피만 늘어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점이 팽창해 생긴 우주 공간의 열에너지 분포는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해야 한다. 균일한 ... ...
- [SF소설] AI 마이너스 알츠하이머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박차연 씨와 둘이서 평택에 있는 배다리 호수 공원을 산책할 때는 벌써 매화가 피기 시작했고, 목련 봉우리가 점점 여물어갈 즈음이었다. 호수 둘레를 한참 빙 둘러 걷다가 내가 먼저 물었다.“이번 의뢰는 가족에게서 온 의뢰였잖아요. 본인이 살아 있고요. 원래 처음부터 물었어야 하는데, AI로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국립생태원장상 받았다 생태모방 기술로 새들을 지켜조 (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이번 탐구 덕분에 지속 가능한 의류 산업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어요. 작은 관찰에서 시작된 생태모방을 통해 동물이 입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생각에 뿌듯했답니다! Q 탐구 과정이 쉽지 않아 보여요. 미끄러운 웰론을 하나하나 비닐에 넣고, 의류용 접착제로 붙이는 과정이 쉽지 ... ...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파쿠르 게임 2탄 복불복 요소를 넣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효과를, 노란색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는 점프강화 효과를 부여해요. 12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0’을 실행하세요. ‘복불복’의 변숫값이 1부터 3까지의 수 중에서 무작위로 정해져요. 흰색과 달리 다른 색깔 콘크리트 블록들은 어떤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친절한 우왁족과 거대 괴물 부르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해롱 호를 향해 움직였습니다. “온다! 다들 앉아서 벨트 매!”얼마 뒤, 땅이 진동하기 시작하더니 해롱 호 주위가 순식간에 뜨거운 오줌으로 휩싸였습니다. 해롱 호는 오줌 줄기를 타고 하늘 높이 떠올랐습니다. “으악! 내 해롱 호가 완전히 오줌에 뒤덮였어!”해롱 선장이 괴로워하는 사이 루띠가 ... ...
- [수학뉴스] 얼음 모양이 수온 따라 달라져요!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윗부분이 차가워졌습니다. 얼음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있는 밑에서부터 녹기 시작했고, 얼음 윗부분은 덜 녹아서 아래가 뾰족한 모양이 됐지요. 물의 온도가 8℃일 때는 반대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얼음 주변에서 차가워진 물은 온도가 4℃가 되기 전까지 밀도가 계속 높아졌고, 물은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지구를 떠나자! 한국형 발사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8월에 달의 둘레를 돌며, 달 착륙선이 착륙할 장소를 찾는 달 궤도선을 발사하는 것을 시작으로, 2030년에 달 착륙선을 보내는 것이 목표랍니다. 달 궤도선은 미국에서 개발한 발사체를 사용하지만, 달 착륙선은 순수 우리 기술로 발사할 계획이에요. 그런데 발사체가 위성 궤도에서 벗어나 달까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