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사지
힘
하늘지기
하늘
기지
슬기
d라이브러리
"
지기
"(으)로 총 2,03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렙틴의 분비가 억제돼 식욕이 증가하고, 깨어있는 시간이 길수록 먹을 기회도 많아
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수면이 부족하면 내분비계나 면역계에 이상이 생겨 각종 피부질환이 생길 수도 있다. 몸짱 미인이 되려면 실제로 잠꾸러기가 돼야 하지 않을까.사회적 붐에 편승해서 억지로 ‘아침형 인간’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중성단의 별들이 너무나 많아서 쌍안경에서는 중심부가 밀집된 구상성단처럼 느껴
지기
도 한다.소형망원경에서는 어떻게 보일까. 아마 망원경으로 이를 본 사람이라면 그 화려함에서 빠져 나오기 어려울 만큼 감동을 받을 것이다. 별 하나하나가 살아 움직이는 듯한 반짝거림은 사진과는 또다른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인간이 로봇을 개발하는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편해
지기
위해서다. 따라서 기술적인 면으로만 본다면 앞으로 로봇은 인간에게 유용한 특정한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로봇 딜레마의 해답은 인간의 뇌하지만 생각하는 로봇이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양과 조성이 변하기 때문에 질병을 진단할 때 이용할 수 있다.혈액에서 의약품이 만들어
지기
가지의 과정 01 전국에서 모인 혈장 성분이 냉동보관돼 있는 대한적십자사 혈장분획센터의 창고. 이곳의 온도는 항상 영하로 유지된다.02 냉동 혈장을 씻고 소독한 다음 녹인다.03 해동한 혈장을 큰 통에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해저에서 작업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또 ROV에는 6백기압이라는 엄청난 압력이 가해
지기
때문에 ROV 내부 장비들이 쪼그라들지 않도록 특수 장치가 필요하다. 그래서 ROV의 모든 장비는 내부에 기름을 채워 넣고 다시 밖을 감싸는 압력보상형 구조로 제작한다.움직이는 기능 또한 빼놓을 수 없다. ... ...
성(聖)스러운 시험에서 '세계의 파괴자' 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안전성의 측면에서 위험천만한 작업이었다. 플루토늄은 우라늄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한번 얻기도 힘들어 시험이 실패한다면 거액을 고스란히 날리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시험 장소 인근의 농부들을 대피시키는 일도 만만치 않았다. 원자폭탄 폭발의 위력이 어느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된다.그런 다음 어느 정도 고온이 되면 땔감이 재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땔감을 던
지기
를 계속 반복해 도자기가 충분히 산소를 공급받도록 구울 수 있다. 이것이 산화불 방식이다. 반면 환원불은 땔감이 완전히 다 타서 재가 되기 전에 또 땔감을 계속 던져 의도적으로 그을음을 발생시키면서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있다. 또한 바닥으로부터 잠수정의 높이를 측정하고 수중에서 물체를 찾기 위한 음파탐
지기
가 부착돼 있다. 잠수와 항해기록은 자동으로 컴퓨터에 저장된다.3명 타면 꽉 차는 비좁은 공간노틸에는 모두 3명이 탈 수 있다. 이번 탐사에는 조종사 프랑크 호사자(Franck Rosazza), 부조종사 줄리앙 페누이으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벌어진 가위모양을 하고 있다. 여기저기 그림자가 드리워진 세상은 조금은 어지럽게 느껴
지기
도 한다. 그림자가 2개니 나무그늘도 2배나 넓어지겠지만, 정말로 시원한 진짜 그늘은 오히려 줄어든다. 오직 2개의 그림자가 겹치는 부분에서만 2개의 태양으로부터 쏟아지는 햇빛을 온전히 가릴 수 있기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오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고유명사 외에도 그 별을 연구한 과학자의 이름이 붙여
지기
도 한다. 성운이나 성단도 마찬가지여서 모양에 따라 이름이 붙거나 과학자의 이름이 붙는 경우가 있다.여름철 북쪽하늘에는 유명한 성운 2개가 나란히 붙어 있다. 북아메리카성운과 펠리칸성운이 그것. 이들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