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플로팅 시티, 도시를 물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수도 있고 40cm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막을 수도 있어요. 이처럼 해수면 상승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막을 수 없는 일이 됐어요. 그럼 해안가에 위치한 도시는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지요. 미국 샌프란시스코도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수 십 년 안에 심각한 피해를 받을 수 있어요. 이에 미국 ... ...
- [과학뉴스] 공룡의 똥이 지구를 풍요롭게 만들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백악기의 지층을 비교해 봤어요. 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의 농도가 얼마나 차이 나는지 분석했지요. 그 결과, 고생대보다 중생대의 지층에서 칼슘과 마그네슘, 인, 황 등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어요. 특히 동물의 배설물에 있는 인의 농도가 3배나 높았지요. 또 중생대 지층에서는 ...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두 터널의 길이가 달라져서 빛이 되돌아온 시간에 차이가 생기지요. 검출기는 이 차이를 감지하는 거예요. 일리: 중력파는 어디에 쓰일 수 있어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중력파는 빅뱅 직후부터 존재했기 때문에 초기 우주의 모습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또 중력파는 우주에 ...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목 길이가 다르지 않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요. 대신 연령이나 좋아하는 먹잇감의 차이가 목의 길이와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답니다. 이처럼 과학자들의 논쟁을 통해 잘못된 부분이 수정되거나,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면서 공룡 연구는 발전하고 있어요. 학자들끼리 서로의 연구를 검증하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에너지 외에도 신재생 에너지로는 바람으로 전기를 얻는 풍력에너지,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이용한 조력에너지, 땅 온도를 이용한 지열에너지, 동식물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등이 있어요. 신재생 에너지는 석유와 석탄 없이도 난방 에너지와 전기 등을 생산할 수 있고, 자원이 무한하다는 장점을 ... ...
- [과학뉴스] 독개구리가 독을 품고도 멀쩡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2500개의 유전자 중에서 3개가 다른 개구리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어요. 하지만 이 작은 차이가 큰 변화를 만들었지요. 보통 다른 동물의 경우 에피바티딘이 몸속에 들어오면 수용체와 결합해 해로운 효과가 나타나요. 하지만 저의 수용체는 다른 여러 물질과 결합하면서도 딱 에피바티딘만을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기준이 되는 곳이기도 해요.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해서 경도 15°마다 1시간씩 차이가 생겨요. 이때 그리니치 천문대의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태양의 움직임을 계산한 시각을 ‘세계시’라고 한답니다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S파가 땅을 위아래로 더 세게 흔들며 도착해요. P파는 초속 6~8km, S파는 초속 3~4km로 속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지요. 한편 인공지진은 강한 P파가 도착한 뒤, S파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에요. 폭발로 인해 인공지진이 생긴 경우, 폭발하는 순간의 압력 때문에 P파가 만들어지지만 땅을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별의 위치와 밤에 본 별의 위치가 달라야 해요. 실제 측정 결과 에딩턴은 둘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어요.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것과 딱맞았지요. 개기일식 덕분에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할 수 있었던 거예요. 또한 개기일식은 태양의 대기를 관측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예요. 태양의 대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높은 기압과 뜨거운 온도를 견딜 수 있을 만큼 단단한 소재가 필요해요. 또 궤도 차이에 따라 공전 속도가 다른 소행성과 건물이 안정적으로 돌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필요하다는 거죠. 앞으로 과학기술이 더 발전한다면 상상 속에 서나 가능했던 소행성에 거꾸로 매달린 건물이 실제로 지어질 수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