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➌ 숲에서 만난 알락하늘소.➍ 주파수 앱을 이용하면 귀뚜라미와 여치의 노랫소리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배윤혁 연구원은 “국립생태원 일대 숲은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몸을 숨기기 쉬운 장소와 먹이가 많아 특히 곤충이 많다”며, “곤충을 탐사하며 생명에 대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적도 지방은 태양에너지를 더 많이, 극지방은 적게 받지요. 이때 생기는 열 에너지의 차이를 해류가 줄여 준답니다. 해류가 적도 지방에서 발생한 열을 실어 극지방으로 나르는 셈이지요. 만약 해류가 없어서 바닷물이 그대로 멈춘다면 어떨까요? 아마 적도 지방의 바닷물은 뜨거워지기만 할 테고, ...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이루며 돌아가지요. 그러면 아래층 또는 윗층 프로펠러가 수면에 닿을 때 생기는 밀도 차이를 다른 층 프로펠러가 극복해낼 수 있거든요.내비에이터가 공기에서 물로 들어가는 중이라고 생각해 봐요. 아래층 프로펠러 4개가 먼저 수면에 닿으면서 물의 저항을 받고, 추진력이 약해질 거예요. 이때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분석할 수 있는 표본들을 많이 찾아서 같은 부위의 뼈를 분석하고 비교해야만 암수 차이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거예요.●상완골 : 어깨에서 팔꿈치까지 이어지는 긴 뼈. 골판이 좁으면 암컷이다?◀ 수컷(위쪽 사진)의 골판을 넓고, 암컷(아래쪽 사진)의 골판은 좁은 형태다.2015년 4월 영국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책임연구원님이 친구들을 반갑게 맞아 주셨죠.“우주 발사체의 엔진과 비행기 엔진엔 큰 차이가 있어요.”조남경 연구원님은 기자단 친구들의 키보다 2배는 커 보이는 엔진을 가리키며 설명을 시작하셨어요.“우주 발사체는 공기가 없는 우주로 나아가기 때문에 연소할 수 있게 산소를 넣어 줘야 ... ...
- 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차이 때문에 생겨요.그런데 만약 북극이 뜨거워지면 어떻게 될까요? 북극과 적도의 온도 차이가 점점 줄어들면서 제트기류도 힘이 점점 약해질 거예요. 빨랐던 제트기류가 서서히 느려지는 거죠.실제로 지구 온난화 때문에 북극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제트기류의 속도가 20년 전에 비해 10~15% 가량 ... ...
- [과학뉴스] 피부에 붙이기만 해도 독감이 예방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정도지요. 하지만 몸에 항체가 생기고 독감을 예방하는 효과는 기존의 주사와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어요.프라우스니츠 교수는 “미세 바늘에 들어 있는 독감 백신은 건조 분말 형태여서 40℃에서 1년을 보관해도 약효에 문제가 없다”며, “날씨가 덥고 냉장 시설은 부족한 개발도상국의 ... ...
- 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워터슬라이드를 즐기는 시간은 길어지고, 몸이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가면서 생기는 속도 차이에서 더 큰 속도감을 느낄 수 있거든요. 특히 깔대기 형태의 워터슬라이드는 최대한 높이 올라가서 멈췄다가 내려오는 순간 자유낙하를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인기를 얻고 있답니다.이때에도 가장 중요한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한편 그로텐디크는 느리지만 납득할때까지 혼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이런 차이 때문일까? 그 집단의 지식인도 훌륭한 업적을 남겼지만, 그로텐디크는 현대 수학을 완전히 바꿔놓는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그로텐디크는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IHES)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런데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뚫고 청중의 귀에 들리지요. 소리꾼과 성악가의 소리 모두 중간 높이 음역이 핵심이지만 차이는 있습니다. 서양의 성악은 공명을 이용하고, 판소리는 생목을 이용합니다. 그래서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은 평소 목소리가 곧 판소리를 할 때 목소리인 반면 성악가는 평소 목소리와 노래할 때 목소리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