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사람의 각막을 이식 받아야만 해결할 수 있었던 각막도 폴리머 소재로 만든다. 최근엔
줄기
세포 기술을 이용해 인공각막 배양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발전한 안과 기술도 눈에서 들어온 빛을 신경회로로 바꿔주는 망막 자체에 문제가 생기면 대안이 없는 경우가 많다. 망막변성이나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단백질의 3차원 구조와 결합방식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옥신은 식물의 뿌리와
줄기
를 자라게 하고 열매를 맺게 하는 등 식물의 생장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호르몬이다. 옥신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억제인자(Aux/IAA17)를 제거하면 생장촉진 유전자가 발현되는 식이다. 과학자들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저명한 발생학자 발테 게링 바젤대 교수도 그리스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한편
줄기
세포 분화의 대가인 일본의 사사이 요시키 박사는 젊은 과학자의 논문 조작 스캔들에 휘말려 극도의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지난 8월 5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7. 발터 게링 (1939. 3.20 ~ 2014. 5.29) 기형 ... ...
피부세포로 정자와 난자 만들면, 뭐가 좋아질까요
2014.12.28
만들어지는 조건을 알아낸 연구팀은 배아
줄기
세포 대신 성인 피부세포를 유도만능
줄기
세포(iPSC)로 역분화 시킨 뒤 시원생식세포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또 연구팀은 이렇게 생겨난 시원생식세포가 특정 단계를 거치며 후성유전의 핵심인 ‘메틸화’가 사라지고 ‘리셋(reset)’된다는 부분에 ... ...
생식세포는 안 되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줄기
세포
2014.12.24
지닌 것으로 확인됐다. 도 교수는 “오직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새로운 타입의 만능
줄기
세포를 처음으로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7일자에 실렸다. ... ...
올해의 바이오뉴스 키워드는 에볼라-기초연구비-나고야의정서
2014.12.21
014 의과학부문 연구성과 Top5 △ 지방세포 분화 조절 메커니즘 규명 - 김재우 (연세대) △
줄기
세포 초기 분화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 개발 - 강종순 (성균관대 의대), 김경규 (성균관대 의대), 김성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세포 스스로 목숨 끊어 결핵 치료한다 - 조은경 (충남대 의대) △ 비만 ... ...
2014년을 달군 과학계 10대 인물
2014.12.18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상이다. 마사요 다카하시 박사는 유도만능
줄기
세포(iPS)를 최초로 임상에 도입한 공로를 인정받았고, 수잔 토팔리안 교수는 면역세포를 암치료에 도입했다. 라드히카 낙팔 하버드대 교수는 개미 군집처럼 움직이며 함께 일하는 인공지능 로봇 시스템을 만들어 ... ...
줄기
세포 역분화 스위치 첫 규명
2014.12.11
‘프로젝트 그란디오스(Project Grandiose)’라는 국제
줄기
세포 연구 컨소시엄으로 유도만능
줄기
세포의 생성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2010년 출범했다. 현재 서 교수팀을 포함해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등 4개국 47명의 연구원으로 구성돼 있다. ... ...
성체
줄기
세포만 쏙쏙 찾는 기술 나왔다
2014.12.09
“몸속에 극소수로 존재하는 성체
줄기
세포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기술을 개발한 만큼 성체
줄기
세포를 대량배양해 질병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세포사멸과 질병’ 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백혈병은 골수에서 세포경쟁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은 결과임을 시사하는 발견이다.
줄기
세포가 흉선에 오래 머물면 왜 암세포로 바뀌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능력이 모자란 것도 서러운데 이를 따뜻하게 감싸주지는 못할망정 돈 몇 푼 쥐어주고 내보내는 사회가 야속하기만 하다. 하지만 인간을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