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9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쪽바다에 뜬 은하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15.04.29
나타났다. 캐논 6D, 노출 4초. ● 그림 부문 은상(심우주 부문) | 조강욱 | M34의 별
줄기
는 누가 다 만들었을까?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동상(태양계 부문) | 김주영 | 태양의 거대 흑점 2192(2209)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동영상 부문 금상 | 김호섭 | 모멘츠(Moments)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
남달랐던 티벳 고원의 형성 과정
2015.04.26
땅 위를 흐르는 강
줄기
들의 연결망이 시간이 흐르면서 변했고, 그 가운데 일부는 강
줄기
에서 떨어져 나와 고립된 호수가 됐다. 이런 호수들이 땅을 짓누르는 무게로 인해 지각판의 상승이 불균형하게 일어나면서 고원지대를 형성하게 됐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강의 변화와 ... ...
발암물질인 줄 알았더니
줄기
세포 핵심 물질
2015.04.22
유전자가
줄기
세포가 작동하는 데 꼭 필요한 유전자라는 사실을 알아냈다”며 “향후
줄기
세포 치료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일자에 실렸다 ... ...
[‘만능 치료제’에 다 건 日] 韓, 바이오 시장 선점 전략은
2015.04.17
세계적인 허브로 떠올랐다”고 말했다. 권석민 미래부 생명기술과 과장은 “유도만능
줄기
세포(iPS세포)가 차세대 바이오 치료제의 선두주자로 평가받는 만큼 이 분야의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 연구도 올해부터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만능 치료제’에 다 건 日] 유도만능
줄기
세포 임상 최전선, 고베 이화학연구소 르포
2015.04.17
그는 “아시아인의 경우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체계가 유사하고, 일본인 한 명에게서
줄기
세포를 얻으면 일본 인구의 8%에게 이식할 수 있다”면서 “망막이나 신경계 등 면역반응이 비교적 약한 부위의 질환부터 선도적으로 연구해 상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증오의 대상이다. 생명과학 역시 다채로운 지식의 보고이지만 유전자조작이나 배아
줄기
세포 같은 얘기만 들어도 경기를 일으키는 사람도 있다. 그럼에도 애증의 관계에서 화학을 능가하지는 못할 것이다. 화학은 애증의 관계가 가장 격렬하게 표현될 뿐 아니라 아마도 애정보다 증오가 더 큰 과학일 ... ...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생생한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5.04.07
중심국가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는 2015년 현재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줄기
세포 치료제 5종 중 4종이 국산일 정도로 생명과학 분야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동아사이언스 이공계 진로찾기 프로젝트 4월 현장 취재는 모든 생명체의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생명과학’을 ... ...
DNA 사촌 ‘PNA’로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개발
2015.04.05
층으로 쌓기 때문에 휘어지긴 해도 둘둘 마는 건 불가능했다. PNA의 경우 DNA처럼 긴
줄기
에 여러 개의 가지를 친 모양으로 생겼다. PNA는 펩타이드 여러 개가 연결된 구조인데, 학계에서는 이 펩타이드의 결합을 달리하며 금속이나 플라스틱 같은 물질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돼 왔다. ... ...
[포토뉴스] ‘아리랑’ 위성이 촬영한 소양강… “강
줄기
가 다 말랐네”
2015.04.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최근 중부지역 가뭄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강원 춘천 소양강댐 지역의 인공위성 사진을 31일 공개했다. 지난달 22 ... 앞서 2년여 전인 2012년 12월 아리랑2호로 촬영한 사진(오른쪽 아래)에서는 짙푸른 강
줄기
가 뚜렷하게 보인다. ... ...
줄기
세포 잘 보면 백혈병 치료 결과 보인다
2015.03.31
만드는 것이다. 가톨릭대 제공 연구팀은 연구 과정에서 백혈병 환자마다
줄기
세포 지지세포의 일종인 중간엽세포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새롭게 발견했다. 완치 환자의 경우 중간엽세포 수는 감소하지만 백혈병이 6개월 이내에 조기 재발하는 환자의 경우 분화되지 않은 미분화 중간엽세포가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