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①]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어떻게 탄생했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22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시적 자문기구인 위원회는 홍두승 서울대 사회
학과
교수를 위원장으로 인문사회·기술공학 분야 전문가 7명, 원전 지역 주민대표 5명, 시민사회단체 대표 3명 등 15명의 민간위원으로 구성됐다. 기술적인 요소 이상으로 주민 수용성이 중요한 사안인 만큼 위원들의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치료에 중의학이 긍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인정하고 있다. 중국은 우리나라처럼 전통의
학과
서구의학이 각을 세우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일이 가능했을 것이다. 보고서는 13편의 세부 보고서로 이뤄져 있는데 첫 번째 보고서가 종합요약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길 보면 총 5327명의 환자 가운데 310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어떻게 감사해야할지 모르겠다”고 쓰고 있다. 이렇게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생물
학과
로 유학을 떠난 도네가와는 바이러스 연구로 1968년 학위를 받고 이듬해 소크연구소 레나토 둘베코 박사의 실험실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했다. 포유류에 감염해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 ...
자료실을 연구자들의 휴식처로 탈바꿈시킨다
IBS
l
2015.05.08
서비스하는 노력이 더 큰 이유였다. 자료실에서 직접 만나본 신정은 행정원은 문헌정보
학과
를 졸업하고 KAIST 도서관에서 근무했던 경력을 가지고 있다. 충북 음성이 고향인 그는 차분한 어투로 IBS 자료실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 나갔다. 사서 전문지식과 서비스 정신으로 자료실 이용객 급증 ... ...
전 세계 나노 분야의 허브 센터 꿈꾼다
IBS
l
2015.05.07
" 2012년 10월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의 단장으로 선정된 이영희 성균관대 물리
학과
교수가 나노 연구와 인연을 맺은 것은 1996년 안식년을 미국에서 보냈을 때였다. 당시 리처드 스몰리 교수와 탄소나노튜브를 대량 합성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연구에 기여했는데, 이 연구성과는 '사이언스'에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다시 시작했다. 세계가 먼저 알아봤기 때문이다. 실험물리학자인 캐나다 앨버타대 물리
학과
의 제임스 핀폴드 교수는 CERN의 소형 검출기인 뫼달(MoEDAL)을 이용해 자기홀극을 찾겠다고 선언했다. 2013년 봄에 이어 포럼 때 다시 한번 방한한 핀폴드 교수는 "조-메이슨 자기홀극은 뫼달의 주요 목적 ... ...
권달관 전국원자력관련
학과
교수연합회 회장 인터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관련
학과
에서 방사선카운슬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신흥대학교 방사선 관련
학과
에 재학중인 사람이나 관련 분야를 희망하거나 종사중인 사람에게는 새로운 직업으로서 주목 받을만할 것 같습니다. 일자리로서 방사선 카운슬러의 전망은 어떤가요? 방사선카운슬러는 공공적 성격이 강한 ... ...
첫 걸음을 뗀 방사선 안전 파수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필요하다는 점에는 모든 참석자가 동의했다. 특히 이 날 토론회를 참관한 방사선 관련
학과
학생들의 관심은 뜨거웠다. 참석자 중 한 명은 “막연하게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방사선카운슬러 교육을 받기는 했지만 막상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는 잘 몰랐다”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혀만 관여하는 게 아니라 오감이 전부 동원되면서 지각된 결과다. 옥스퍼드대 실험심리
학과
찰스 스펜스 교수는 ‘다중감각적 풍미 지각’이라는 글에서 맛의 이런 측면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앞 문장에서 쓴 풍미와 맛 모두 영어 ‘flavor’의 번역어로 넓은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1.6×10-35m) 정도로 확대해야 관측할 수 있다. 이처럼 ‘조용하지 않은 진공’은 양자역
학과
상대성이론이 만난 결과다. 양자역학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따르는 입자는 필연적으로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물질이 어느 한 점이 아닌 일정한 영역에 걸친 파동 함수로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