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과"(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디어가 실현되는 창구, 창조경제타운!동아사이언스 l2014.07.21
- 않았고요. 사이버 상에서 한꺼번에 세 명의 멘토에게 멘토링을 받을 수 있다기에 기계학과 교수님, 디자이너, 생활용품 회사 부장님께 멘토링을 받았어요. 와, 근데 깜짝 놀랐잖아요. 어린아이라서 그냥 무시하실 줄 알았는데 어찌나 친절하게 답변을 해주시는지. 멘토링을 받는 세달 동안 배운 것도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6편]동아사이언스 l2014.07.16
- 교수 ○ 정의진┃서울대 산업공학과 10학번 ○ 임지윤┃서울대 산업공학과 11학번 ○ SM ┃안양외고 동아리(과학동아 서포터스) ※ 프로그램 참가문의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는 과학동아의 기획코너인 ‘서울대 공대 카페’ 현장을 방송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에 ...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2014.06.04
- 암흑물질일거라는 또 다른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물리천문학과 케보르크 아바자니안 교수는 유럽우주국(ESA)의 XMM-뉴턴우주망원경에서 관측한 X선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존재하는 3.5킬로전자볼트(KeV)의 X선이 7KeV 질량의 불임 뉴트리노가 붕괴할 때 나온 신호임을 ...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제주 편, 용천 지리여행 KISTI l2014.05.29
- 삼다도(三多島). 바람, 돌, 여자가 많아 붙여진 제주도 별칭. 태풍 길목에 놓인 화산섬 특징을 잘 표현한 제주의 멋진 아이콘이다. 여행자들은 이 삼다를 떠올리며 제주를 음미한다. 삼다는 제주 스토리텔링의 핵심 소재다. 사실 ‘삼다’ 말고도 제주 아이콘은 수도 없이 많다. 용천, 곶자왈, 오름, ...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KAIST l2014.05.26
- 프로그래머가 되나요? 많은 전산학과 학생들이 프로그래머가 되는 게 사실이지만 전산학과를 나와서 기획자가 되는 사람들도 있어요. 실제로 제 바로 옆 책상을 쓰는 분도 그렇고요. 어떤 부서에서 일하느냐가 전공에 국한되지는 않아요. 모든 게 자신의 선택에 달렸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4편]동아사이언스 l2014.05.21
- 미래전망까지 다양한 질문과 답변을 살펴본다. ◆ MC: 최정문┃서울대 산업공학과 4학년 ◆ 나오는 사람들 ○ 성영은┃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장준혁┃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11학번 ○ 김민선┃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12학번 ○ 코스모스┃용인외대부고 동아리(과학동아 ... ...
- 과학기술과 경영 두마리 토끼를 잡아라!KAIST l2014.05.19
- 수강하거나 관련 책들을 읽으며 경영학에 재미를 느꼈던 학생들이라면 기술경영학과에서도 충분히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처음에는 복수전공 의무화로 다소 고생은 하겠지만, 졸업 후에는 어디에서나 데려가고 싶어 하는 종합적인 리더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격려의 말을 전했다. ... ...
- “새로운 교육플랫폼을 만들고 싶습니다”KAIST l2014.05.15
- 신분으로 어엿한 한 회사의 대표가 된 정인모 씨가 바로 그 본보기다. 산업디자인학과 3학년을 마치고 지금은 휴학해 회사 운영에 여념이 없는 그를 KAIST 문지 캠퍼스의 사무실에서 만나 보았다. 대표로서 아이엠컴퍼니를 간단히 소개해 준다면? 문지 캠퍼스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만난 정인모 씨 ...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2014.04.17
- 30%가 사산하고, 태어난 새끼의 절반 이상이 한 달 안에 죽는다”고 말했다. 서울대 수의학과 이항 교수는 “좁은 수조에서는 운동을 마음껏 할 수 없고 먹이도 한정돼 있어 수족관 돌고래의 면역력은 낮다”고 말한다. 그래서 수족관에선 돌고래에게 비타민, 항생제, 면역강화제 등을 자주 투약한다. ...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16살 때 영국으로 건너가 기숙학교 생활을 ‘버틴 뒤’ 케임브리지대에 입학해 인류학과 고고학을 공부했다. 인류가 아시아에서 기원했고(1891년 외젠 뒤부아의 자바원인(호모 에렉투스) 발견), 인류의 문화는 유럽에서 시작했다는 당시 주류 학설에 의문을 제기한 리키는 자신이 자랐던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