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2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백문이 불여일견! 중고생들이 직접 찾아가는 본격 이공계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2편에서는 베스트셀러 ' ... 차상균 교수 제7편 서울대 원자핵공
학과
주한규 교수 제8편 서울대 조선해양공
학과
김용환 교수 제9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백문이 불여일견! 중고생들이 직접 찾아가는 본격 이공계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편에서는 서울대 공대 기 ... 차상균 교수 제7편 서울대 원자핵공
학과
주한규 교수 제8편 서울대 조선해양공
학과
김용환 교수 제9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대한 답을 줄 수도 있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58가지 이야기 비교 영국 더럼대 인류
학과
얌시드 테라니 교수는 생물학 교과서에 나오는 계통분류학 방법을 이용해 동화 ‘빨간 머리’ 계열 이야기들의 계통수를 만들었다. 테라니 교수는 세계 33개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빨간 머리’와 ... ...
프레더릭 생어, 생명의 정보를 캐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독특한 졸업시험 체계가 있는데, 개론을 다루는 1부와 전공을 다루는 2부가 있다. 물리
학과
수학에서 고전한 생어는 보통 2년이면 끝내는 1부를 3년 만에 통과했다. 그 뒤 생화학을 전공했고 2부 시험을 통과해 1940년 12월 졸업장을 받았다. 이해 10월 대학원에 진학한 생어는 처음에는 풀에서 식용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미국 뉴헤이븐에서 태어난 로스버그는 화공학자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카네기멜론대 화공
학과
에서 학부를 마친 뒤 예일대에서 1991년 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런 경력을 잘 살려 1991년 큐라젠(CuraGen)이라는 바이오벤처를 만들어 유전체학에 기반한 약물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박사과정을 때려치우고 시애틀로 가서 워싱턴대에서 수학을 공부한다. 그리고 천문
학과
의 객원연구원 생활을 몇 년 한다. 1996년 한 잡지와 한 인터뷰를 보면 그녀는 이미 거부 3부작에 대한 흥미를 잃은 것으로 보인다. 좋은 이론이 되려면 좋은 실험이 따라야 하는데 자신은 “실험에 재능이 없기”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지질학은 대표적인 고전과학으로 인력 수요가 많지 않은 편이라 ‘비인기
학과
’로 꼽히곤 한다. 그래서인지 지질학에 실용적인 가치가 별로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기껏해야 몇몇 사람들이 지하자원이나 광물자원 개발에 필요하다는 사실을 아는 정도다. 그러나 해양지질학은 ... ...
「원자력 교육백서」 첫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현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발간 배경에 대하여 “최근 원자력 유관
학과
를 개설하는 대학이 늘어나는 추세이고, 후쿠시마 사고 후 원자력 행정체제 개편으로 교육훈련기관이 다양화 되고 있다. 따라서 기관간 교육프로그램 공유 등을 통해 협력․교류를 모색하고, 국가차원에서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작업의 스펙트럼을 넓혔다. 박사학위 내내 저술작업을 병행했고 1977년 인디애나대 컴퓨터
학과
교수로 자리잡은 뒤 마무리해 1979년 펴낸 것이다. 책의 5장 ‘재귀적인 구조와 재귀순환적인 과정’에 호프스태터 나비를 설명하는 부분이 나온다. 역자가 독문학자라 crystal을 결정이 아니라 수정으로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이탈리아 출신의 구글리엘모 마르코니Guglielmo Marconi였다. 마르코니는 어렸을 때부터 물리
학과
전기공학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나 그는 과학자라기보다는 사업가이자 발명가였다. 마르코니는 헤르츠의 실험에 크게 고무되었지만 전자기파에 대한 해석을 이론적으로 발전시키기는 방향은 아니었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