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이들이 멸종하지 않고 지금도 어디선가 살아있을지 모른다는 것. 캐나다 앨버타대 인류
학과
그레고리 포스 교수는 2005년 학술지 ‘인류학 투데이’에 발표한 논문에서 플로레스섬의 토착부족인 나지(Nage)족에서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에부 고고(Ebu Gogo)’ 전설이 바로 호빗족을 보고 나온 ... ...
"잘키운 생명공학 인재, 한국판 몬산토 밑거름"
동아사이언스
l
2013.08.28
007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채소재배과 연구사 - 1993~1994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원예
학과
방문연구원 - 2007~2008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연구기획과 연구관 - 2008~2013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연구관 - 2011~2013 네덜란드 와게닝겐대 연구센터 상주연구원 - 2013~현재 농촌진흥청 연구운영과 ... ...
새로운 나노 연구 분야에 꾸준히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8.07
연구를 개척해 전 세계를 이끄는 위치로 발돋움해야 합니다.” 제원호 서울대 물리
학과
교수는 고체 위주로 이뤄졌던 나노 연구 분야에서 액체상태에 대한 특성 연구를 개척한 과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국내에서 시작된 연구가 세계화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도록 새로운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증식한 뒤 박테리아를 깨고 나온다. - 위키피디아 제공 미국 뉴저지의대 치의대 구강생물
학과
다니엘 카두리 교수팀은 박테리아를 공격하는 박테리아 용병 두 종으로 병원균을 퇴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논문 두 편을 올해 5월과 6월 학술지 ‘플로스 원’에 잇달아 발표했다. ... ...
박테리아 이용한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합성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02
에너지 저장장치. 높은 효율과 반영구적인 수명이 특징이다.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
학과
김동완 교수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지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8월 수상자 고려대 황선욱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8.01
은 과도한 소금섭취를 막는 짠맛수용체 단백질을 최초로 발견한 공로로 고려대학교 의과
학과
황선욱 교수(黃善昱, 41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8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황 교수는 뇌신경세포에서 소금을 감지하는 짠맛수용체의 정체가 단백질(TMC-1 : TransMembrane Channel-like)이고 이것이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5
23일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만난 이영희 단장(물리
학과
교수)은 우리나라 나노정책이 산업화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IBS는 과학자들이 기초연구를 오랫동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생했다. 단기성과나 연구비에 ... ...
[채널A] 식초로 소독은 금물…해파리 독침 공격 대처 요령
채널A
l
2013.07.22
독침이 더 많이 나올 수 있어 절대 삼가야합니다. [인터뷰 : 조영덕/고대구로병원 응급의
학과
교수] 바닷물로 씻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독침이 보이는 경우 깨끗한 카드를 사용해서 뽑아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주로 물에 떠다니는 해파리는 물의 흐름이 느려지는 만에 몰리는 경향에 있어 이런 ... ...
[표준연] 대덕에 학연간 벽허물기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13.07.19
갖고 본격적인 공동연구에 돌입한다. KAIST 양자터널링측정센터(센터장 이진환, 물리
학과
교수)와 고자기장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초저잡음 초고속 전류/전압 프리앰프를 개발하고 이를 주사터널링현미경(STM) 및 원자현미경(AFM)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보다 50배의 해상도를 가지는 초정밀 ... ...
제올라이트 합성과정에서의 결정변형 원인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7.12
방사광가속기가 이용된 이번 연구에는 서강대 화
학과
윤경병 교수팀과 생명과
학과
김정호 교수팀, 포항가속기연구소 등 국내 연구진은 물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이언 로빈슨(Ian Robinson) 교수팀과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등 해외 연구진이 함께 참여했다. 기존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