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사례
실례
지위
처지
기회
케이스
d라이브러리
"
경우
"(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 과학동아 ‘궁극의 질문’ 선정 이유 이 문제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
의 수는 어떻게 계산할까? 계산할 수 없다면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타당할까? 이렇게 다양한 의문을 가지다 보면 정의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들이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지 알아낼 수 있다.해결의 ... ...
[수콤달콤연구소] 사탕교환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중요!받아내림이 두 번 있는 뺄셈을 어려워하는 친구들이 많아요. 이런
경우
10을 모으고 가르는 활동을 통해 수 감각을 기르면 좋아요. 1이 10개 모이면 10이 되고, 10이 10개 모이면 100이 되는 교환의 원리를 천천히 생각하면서 계산해 보세요. 문제를 점점 쉽게 풀 수 있을 거예요. 문제 푸는 데 걸리는 ... ...
[매스크래프트] #13. 보신각 종을 꼭 닮은 통계학의 핵인싸 정규분포!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키는 190cm대나 150cm대보다는 170cm대인
경우
가 많을 거예요. 성인 여성은 150cm 후반인
경우
가 많고요. 그 이유는 우리나라 남녀 평균 키가 각각 170.63cm와 157.11cm이기 때문이죠(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통계). 우리나라 성인의 키를 남녀로 구분해 그래프를 그리면 이 자료 역시 평균을 중심으로 종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영어는 필수예요. 논문도 영어로 써야 하고, 연구한 내용을 전달할 대상도 외국인인
경우
가 많죠. 다양한 사람과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영어가 중요해요. 외국인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고,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시추해야 가장 깊숙한 곳까지 작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분지가 복합운석충돌구일
경우
시추를 중앙에서 하면 솟아오른 기반암에 닿아서 깊숙이 들어갈 수 없을 확률이 높다. 고심 끝에 중앙을 피해 시추 위치를 잡았다. 그렇게 시추를 시작했다. 시행착오 끝에 142m 깊이까지 시추를 하는데 ... ...
[신 기후체제]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곱하고 물소모계수를 나눠 구할 수 있다. 이번에 인증을 받은 두부 제품의
경우
평균 탄소 배출량이 100g당 82.5gCO2e(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값) 정도였다.풀무원은 2022년까지 감축부문 인증을 받기 위해 올해부터 제품 당 탄소발자국 수치를 줄여갈 예정이다. 두부가 생산되는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될 만한 조언을 하셨습니다. 서 교수님은 ‘정수 집합에서 자연수를 뽑을 확률’의
경우
“어떤 확률분포가 주어져 있는지 먼저 생각해보라”고 설명했습니다. 오 교수님은 증명 ①과 ②의 차이를 묻는 질문에 “‘구간 [0, 1]에서 구간[0, 2]로 가는 일대일대응 함수 a→2a가 있으므로 길이 1과 2가 같은 ... ...
[과학뉴스] 공전주기 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일반적으로 행성과 중심별과의 거리가 멀수록 행성의 공전주기가 길다. 태양계의
경우
모든 행성들의 공전궤도가 한 평면 위에 있다. 하지만 HD 106906 b는 달랐다. 중심별인 쌍성계 근처에 있는 먼지구름이 이룬 원반과 HD 106906 b의 공전궤도가 틀어져 있었다. 연구팀은 HD 106906 b가 지구와 태양 거리의 ... ...
[과학뉴스] 청설모도 이웃과 사이좋게 지낼수록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각자 영역을 두고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청설모도 같은 이웃과 오랫동안 공존할
경우
생존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지난해 12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94년부터 2015년까지 22년간 캐나다 유콘주 남서부에 서식하는 청설모 1009마리를 연구했다.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3D 구조를 가진 단백질 중에도 상호작용하는 생체 분자에 따라 일부분의 구조가 변형되는
경우
가 많다. 이런 단백질의 원리와 성질 변화를 성공적으로 예측하는 일은 알파폴드2의 다음 과제로 남아 있다. 알파폴드2의 등장이 다른 구조 예측 AI의 출현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한다. 아무도 신대륙을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