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46년 2월 14일 컴퓨터의 선구자, ‘에니악’ 공개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컴퓨터 역사가들은 최초의 컴퓨터가 실제로 무엇인지에 대해 계속 논쟁 중입니다. 1939년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의 아타나소프 교수가 만든 ‘ABC’나, 영국의 암호 해독가들이 1943~1945년 사이에 활용한 ‘콜로서스’가 최초의 컴퓨터라는 주장도 있지요. 특히 콜로서스의 경우 영국 정부가 국가 ... ...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느덧 올해로 10번째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 ... ...
- 첫 번째 방_닥터 퍼즐러의 세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람이지요. 체스에서 시작된 퍼즐 사랑 사무엘 로이드는 19세기 미국의 퍼즐리스트(퍼즐을 만드는 사람)예요. 사무엘의 줄임말인 ‘샘’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졌지요. 로이드의 퍼즐 사랑은 체스 게임에서 시작됐어요. 14살 때 체스 동아리에 가입해 대회에 출전하고, ... ...
- [수학뉴스] 150년 만에 n-퀸즈 문제의 근삿값을 알아냈어요!수학동아 l2022년 03호
- 퀸이 각기 다른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줄에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어요. 마이클 심킨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리과학응용센터 연구원은 5년에 걸쳐 이 문제의 근삿값을 구했어요. 먼저 퀸이 있을 확률이 높은 공간을 중심으로 가능한 배열 방법의 가짓수를 찾는 식을 만들어 하한을 구했어요. 그리고 ... ...
- [특집] 3월 14일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수학의 날!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수학 행사를 즐길 수 있다고 추천했어요. Q. π-데이는 누가 만들었나요? 1988년 3월 14일 미국 물리학자 래리 쇼가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에서 원주율(π)을 기념하는 행사를 처음으로 열었어요. 과학관 직원들과 추억을 남기기 위한 이벤트였지요. 3월 14일 1시 59분에 다 같이 3분 14초 동안묵념을 하고 ... ...
- [기획] 선거 당일, 반드시 투표해야 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수학적으로 이 사실을 보여 준 수학자가 있습니다. 지난 2021년 스티븐 스트로가츠 미국 코넬대학교 응용수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투표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때 투표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수학 모형으로 만들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 ...
- [매스미디어] 히어로의 세대 교체, 어둠을 뚫고 그가 온다 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사라지고 박쥐 얼굴과 날개만 간단히 표현돼요. 배트 시그널 중 가장 유명한 건 1989년 미국의 팀 버튼 감독이 배트맨 이야기를 처음 영화로 제작하면서 만든 거예요. 옆으로 누운 길쭉한 노란 타원 안에 날개를 활짝 펼친 검은색 박쥐가 들어 있는 모양이지요. 2005년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제작한 ... ...
- [에디터 노트] 창백한 푸른 눈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픽셀) 하나 크기도 안 되는 작은 지구를 ‘창백한 푸른 점’이라고 불렀습니다. 1969년 미국 록밴드 벨벳언더그라운드가 발표한 곡 ‘창백한 푸른 눈’을 연상시키는 이름이죠.광대한 우주에 외롭게 떠 있는 지구는 참 보잘것없습니다. 격렬한 싸움, 질투, 사랑, 증오, 협력, 경쟁, 그리움 등 우리가 ... ...
- [과학뉴스] 전 세계 빙하, 예측보다 20% 적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빙하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적을 가능성이 제기됐다.프랑스 환경지질학연구소(IGE)와 미국 다트머스대 국제공동연구팀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빙하의 움직임과 두께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전체가 녹았을 때 상승하는 해수면의 높이가 종전에 예측한 값보다 20%가량 낮다고 예측해 2월 7일 국제학술지 ... ...
- 돼지 심장 이식 성공 이종장기 시대 앞당겨진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혈액 응고 등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6개의 유전자를 삽입했다. 유전자 편집 돼지는 미국의 바이오기업 리비비코어에서 개발했다. 다만, 이종장기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돼지의 내인성 바이러스 유전자는 교정하지 않았다.박정규 서울대 의대 교수(전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장)는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