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경우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한스 쉘러]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한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
생의학연구소 한스 쉘러 소장은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여전히 체세포 시절을 ‘기억’하고 있다”며 “따라서 원래의 체세포와 전혀 다른 계열의 체세포로 분화될 경우 문제가 있을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케쿨레는 꿈속에서 뱀이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을 보고 힌트를 얻어 벤젠의 육각형
분자
구조를 알아냈다고 해. 벤젠은 독성이 있지만 아스피린 같은 알약에도 들어 있을 정도로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이는 물질이야.벌집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육각형 방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산화탄소 1
분자
에서 메탄올 4
분자
를 얻을 수 있다. 기존 방법은 메탄 4
분자
에서 메탄올 4
분자
를 얻는다. 이산화탄소가 원료로 들어가니 연료가 연소될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줄어드는 셈이다.이 반응은 두 단계로 이뤄지는데 1단계에서는 메탄, 물,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는 몸을 숨기는 전략이다.프로벤치오 박사는 색소세포에서 빛을 감지하는
분자
를 추적했고 1998년 마침내 막대세포나 원뿔세포에서 빛을 감지하는 단백질인 옵신과 구조가 비슷한 단백질을 찾아 ‘멜라놉신(melanopsin)’이라고 명명했다. 연구자들은 멜라놉신이 개구리의 다른 조직에도 존재하는지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뛰어난 화학섬유를 개발해 전 세계를 놀라게 했죠. 북한이 비날론에만 고집하다가 섬유고
분자
산업이 발전하지 못한 측면이 있을 정도입니다.오 저는 기업체에서 오랫동안 일했고 지금도 산업현장을 자주 찾습니다. 이곳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7위의 화학산업 국가가 되도록 땀 흘려 일하는 ... ...
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조각에 포함된 아미노산들, 살코기에 포함된 단백질을 보면 우리가 얼마나 많은 종류의
분자
를 먹고 있는지 상상이 가지 않는다.길거리에 나서면 더욱 더 다양한 화학물질이 눈에 들어온다. 사람들은 휴대전화를 갖고 다니고 화장을 하고 아름다운 색상의 옷으로 멋을 부린다. 그런데 아무리 좋은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집대성했는데, 책의 맨 뒷부분에 열역학 제2법칙과 관련한 재미있는 언급을 했다. 개별
분자
의 속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알 수 있다면 열역학 제2법칙이 무너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리학자 윌리엄 톰슨이 여기에 ‘맥스웰의 도깨비’라는 이름을 붙였다.이후 맥스웰은 다시 케임브리지로 돌아가서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연적으로 평행하게 정렬하는
분자
들로 이뤄져 있다. 렌즈에 균질하게 도포하면 이
분자
들이 미세한 필터를 형성해서 정렬방식에 맞지 않는 모든 빛을 차단해준다. [ 선글라스를 고를 때는 코팅이 잘 됐는지, 렌즈에 균열이 없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선글라스에 채택되는 편광렌즈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정성기 교수][약물이 혈뇌장벽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분자
수송체가 필요하다]#2태양전지로 옷 만든다?현재 우리가 대부분의 에너지를 화석 연료와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은 꾸준히 문제가 되고 있다. 환경 오염과 자원 고갈에 대비하기 위해 태양전지나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때문에 연구가 더 진행되지는 못했다. 그런데 DNA를
분자
수준에서 조작할 수 있는
분자
생물학 기술이 미국을 중심으로 해서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게링 박사는 최신 학문을 배우기 위해 미국 예일대로 떠났다.미국에서 첨단 기법을 습득한 그는 1972년 스위스 바젤대 생명과학센터에 교수로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