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택"(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구슬을 올려놓고 원하는 비율만큼(예를 들어 1/10 ) 구슬을 무작위로 고른다. 그러면 선택된 구슬 중에 빙고가 되는 게 반드시 있다는 것이다. 물론 4×4×4(=43) 빙고판에서 구슬 6개를 고르면 빙고가 없을 수도 있다. 3차원을 n(충분히 큰 수)차원으로 늘려 빙고 칸의 개수가 4n이 된 다음 이같은 방법을 ... ...
- [Photo] 자연이라는 화가가 남긴 푸른색 팔레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살릴 수 있는 안료도 제한적이었다. 화가들이 치밀한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쳐 안료를 선택하고 그림을 그렸지만, 수백 년에 걸친 풍화에 의해 겪게 될 색상 변화는 예측할 수 없었다. 그 결과 현대를 살아가는 후손들이 풍화의 결과를 보며 원작을 되살리고 있다.회화 작품을 복원할 때, 조건에 따라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개발한 ‘단일클론항체’ 기술의 특허료로 충당했다. 단일클론항체 기술은 어떤 항원을 선택적으로 인지하는 항체를 대량생산하는 기술이다.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때, 세포 내 특정 물질의 위치를 확인할 때 등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이를 개발한 체자르 밀스테인과게오르게스 쾰러 박사는 198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할 수 있을까? 차라리 벼락치기를 시작하는 시간을 앞당기고 충분한 수면시간을 선택해보자. 잠을 자는 동안 생각도 정리하고 긴장도 풀려서 다음날 중요한 시험이나 일이 좋은 컨디션만큼 술술 풀릴지도 모르는 일이다.반복하기, 평소에 습관 들이기, 마감 당기고 푹 자기. 신경과학자들이 추천하는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더 좋은 조각을 가져갈 게 당연하니까요. 심술이는 자기가 케이크를 자르진 않았지만 선택을 먼저 할 수 있으니 불만이 없겠죠. 그렇다면 백설공주와 심술이, 행복이 이렇게 셋이서 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눠 먹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둘일 때처럼 백설공주가 케이크를 세조각으로 나눠 놓고,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계통발생 연구를 한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는 ‘자이레이즈(gyrase)’라는 유전자가 선택됐다. 자이레이즈는 DNA의 꼬인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 사람과에 속하는 인간과 다른 유인원의 진화를 보기에 변이 속도가 적당하다(리보솜RNA 유전자는 변이 속도가 너무 느리다!).장내미생물이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해야 하다. 먹잇감에 슬그머니 접근하면서 포식자의 눈도 잘 피하기 위해 이들이 선택한 전략은 바로 ‘천천히 움직이기’다. 어느 정도냐 하면, 나뭇가지를 붙잡은 채 약 1시간 이상을 멈춰 서 있을 수 있다. 원래 빠르게 움직이는 것보다 아주 천천히 움직이는 게 훨씬 힘든 법이다. 좁은 나뭇가지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다리를 건설하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바람이나 지진을 잘 버틸 수 있는 구조물을 선택한다. 길이가 긴 다리는 여러 모양을 합쳐서 만들기도 한다. 바다를 가로지르는 다리 중 가장 긴 중국의 ‘자오저우완 대교(오른쪽 사진)’는 다리의 일부 구간은 사장교, 다른 구간은 현수교 형태로 만들었다 ...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송 모형을 만든 뒤, 슈퍼컴퓨터에서 승객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하게 해 최적의 노선을 설계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대전의 버스 수송분담률을 30%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슈퍼컴퓨팅 서비스 위한 최고의 지원군KISTI 슈퍼컴퓨팅응용실 소속 과학자는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슈얼 라이트의 관계 계수 r에 매우 근사할 것이다.(해밀턴, 1963년, 354쪽).왜 해밀턴은 선택이 느리다는 전제 조건 하에 유전적 근연도는 관계 계수에 가까워진다고 애매모호하게 썼을까. 진실을 말하자면, 유전적 근연도는 족보를 따지는 관계 계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필자는 틀린 답을 장황히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