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뜰 때 몸을 옆으로 기울이고 수면을 향해 돌을 던지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걸 증명한
셈
이지요.연구팀은 물수제비가 몇 번이나 일어나는지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모형도 만들었어요. 이 수학 모형을 활용하면 수상스키나 웨이크보드 같은 수상 스포츠를 발전시킬 수 있어요. 공기와 물의 마찰력을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함께하는 거니까. 바로 양말이다. 한마디로 그는, 입을 수 있는 미생물 발전소를 개발한
셈
이다.주인공은 영국 브리스톨 로봇연구소 바이오에너지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요아니스 이에로풀로스 교수다. 지구 반대편에서 도착한 그의 e메일에는 자신감이 엿보였다. “우리 센터는 지난 15년간 폐수를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15 스파크 어워드’와 ‘2015 대한민국 굿디자인’에도 선정됐다. 우수성을 두루 인정받은
셈
이다. 이 제품은 정 교수팀이 산학 프로젝트로 디자인한 ‘아프로뷰 S2’로, 속도나 경로 정보를 자동차 앞 유리가 아닌 본체 너머 도로에 보이는 것처럼 나타내는 ‘허상거리 구현 방식’의 헤드업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되는 차이”라고 말했다. 루팅이나 탈옥을 한 스마트폰은 스스로 차선 하나를 만든
셈
이기 때문에 스파이앱이 활동하기가 더 수월하다.하지만 아이폰이 더 안전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해킹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어려운 만큼 백신 프로그램도 실행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운영체제마다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일어나고 10-32초 뒤부터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인
셈
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데도 쓸 데가 없다’고 말했어.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게 바로 전자기파지. 그러니 중력파도 앞으로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데이터과학자로서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저 스스로도 재미있는 일을 하고 있는
셈
이니 재미와 보람을 느낍니다. 여러분도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 찾아보고, 그 꿈을 향해 한 발자국씩 나아갔으면 좋겠어요. 응원하겠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빅데이터가 미래다PART 1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조건 중 ‘궤도 주변에 작은 천체가 남아 있지 않을 만큼 중력이 크다’에서 벗어난
셈
이다.10번째 행성 될 뻔한 에리스행성 후보로 올랐다가 자격미달로 왜행성으로 분류된 것은 명왕성뿐이 아니다. 1800년대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서 발견된 세레스의 궤도는 수학적으로 봤을 때 행성의 궤도라고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한다. 총알은 분명 바깥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는데 뼈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힘을 받는
셈
이다. 캔에 든 소다를 열심히 흔든 다음 송곳으로 구멍을 내면 탄산의 압력 때문에 캔이 바깥쪽으로 폭발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머리를 관통하면서 총알의 속도는 다소 줄어들지만 회전 반경은 더 커진다. 이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관측소는 천구 전체를 동시에 관측한다. 사방에 눈이 달려있어 고개를 돌릴 필요가 없는
셈
이다. 게다가 전자기파보다 순서상 먼저 신호가 잡힌다. 중력파나 중성미자는 일기예보를 하듯 전자기파를 예보할 수 있다.미국의 중 력파관측소 라이고(LIGO)는 전세계 70여 개 천문그룹과 양해각서(MOU)를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모여 하나의 인생이 완성된다. 현재의 ‘나’는 지금까지 스스로 해온 선택의 결과물인
셈
이다.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도 예외는 아니다. 지구에 등장했을 때부터 현재까지 살아남기 위해 크고 작은 결정들을 내려야만 했고, 그 결과 지금의 서식지에 각자성공적으로 자리잡았다. 그들이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