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조건 중 ‘궤도 주변에 작은 천체가 남아 있지 않을 만큼 중력이 크다’에서 벗어난 셈이다.10번째 행성 될 뻔한 에리스행성 후보로 올랐다가 자격미달로 왜행성으로 분류된 것은 명왕성뿐이 아니다. 1800년대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서 발견된 세레스의 궤도는 수학적으로 봤을 때 행성의 궤도라고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함께하는 거니까. 바로 양말이다. 한마디로 그는, 입을 수 있는 미생물 발전소를 개발한 셈이다.주인공은 영국 브리스톨 로봇연구소 바이오에너지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요아니스 이에로풀로스 교수다. 지구 반대편에서 도착한 그의 e메일에는 자신감이 엿보였다. “우리 센터는 지난 15년간 폐수를 ... ...
- [과학뉴스]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온갖 별들의 역사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는 ‘우주 도서관’으로 들어가는 열쇠인 셈이지요.함께 연구를 진행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카스텐 단즈만 교수는 “중력파의 검출은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얻게 된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장치예요. 영화 에 등장하는 광선총처럼 엑스선레이저를 내보내는 장치인 셈이죠. 방사광가속기는 이때 나오는 빛에너지로 물질의 원자나 분자 단위 구조를 분석한답니다.포항 가속기연구소는 1995년부터 3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사용했답니다. 그러다 2013년 5월부터 빛의 효율이 더 좋은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An+Bn=Cn을 만족하는 정수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게 되는 셈이다.1984년, 독일 수학자 게르하르트 프라이가 최초로 페르마의 방정식(An+Bn=Cn)을 타원방정식 형태(y2=x3+(An-Bn)x2-AnBn)로 바꿀 수 있다고 발표했다. 프라이가 만든 방정식 덕분에 수학자들은 타니야마-시무라 ...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밝혀진 이유는 없다. 학자들은 여러 가지 추측만 내놓을 뿐이다. 60의 인수★가 많아 셈하기가 편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고, 당시 1년을 360일로 두었다는 점에서 60을 사용했다는 추측도 있다.[인수★ 어떤 정수를 나눌 수 있는 수.] 바빌로니아의 수학이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숫자를 나타내는 ... ...
- [과학뉴스] 빨리 자라는 원숭이의 슬픈 사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교수는 “수컷들이 자신의 짝짓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벌이는 일종의 군비 경쟁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동물행동학’ 4월호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아가미 필터’ 노하우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빨아들인 뒤 물속에 들어 있는 먹이만 걸러내 먹는다. 아가미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는 셈이다. 아가미 필터는 찌꺼기 때문에 막히는 일이 없고, 필터 구멍보다 더 작은 입자들까지도 걸러낸다.연구팀은 원리를 알아내기 위해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걱철갑상어의 아가미와 유사한 원뿔 모양의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쓰는 데 필요한 책을 선별하고, 한 편의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책을 순서대로 정리한 셈이다. 만약 기존 서고에 새로운 책을 추가한다면, 별로 눈에 띄지 않아 새 책의 역할을 확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정리된 서고에 놓은 새 책은 쉽게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예컨대 에탄올을 생산하는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혼자 밥이나 술을 먹는 사람들, 이른바 ‘혼밥혼술족(族)’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런 세태에 대해 개인 간 유대관계가 끊어졌다는 우려와, 어디까지나 개인의 자유라고 ... 진짜 문제는,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이다. 혼밥 혼술이 진정한 낭만의 문화로 남으려면 넘어야 할 산이 있는 셈이다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