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나뉜다. 유전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이론인 ‘중심원리(central dogma)’에 따르면 유전정보를 표현하는 최종 물질인 단백질은 DNA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DNA로부터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데 필요한 중간물질이 RNA다.DNA 백신은 항원 단백질을 발현하는 D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해 제작한다. 이때 인체에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이브리도마(Hybridoma)’ 기법으로 무한히 증식하는 불멸의 상태로 만들거나, 항체의 정보를 담은 유전자를 발현시켜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이 있다. 대부분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GMP) 인증을 받은 시설의 멸균된 환경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싼 편이지만, 단일클론항체는 혈액 속에서 ...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유가 궁금해요.수학과 데이터, 인공지능을 모두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진로를 선택할 때 정보통신(IT)이나 금융 분야 대기업으로 진출할 수도 있었어요. 하지만 제가 아주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도교수이신 최수영 교수님과 함께 하던 연구라 애착이 있었어요. 당시에 현재 일하고 있는 토목 회사가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입자 간의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아 놓은 RNA 바이러스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8개의 RNA 분절로 이뤄져있어 복제 시 재조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그만큼 변종이 많이 만들어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또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박쥐를 숙주로 삼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체와 89.1% 일치하지만, 실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부위는 달라 계통학적으로는 신종으로 분류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출현으로 코로나바이러스는 사스와 메르스를 포함해 총 7종이 됐다. 2020년 1월 9일, 중국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만 분리하고 배양해 다수의 개체를 확보하면 그 바이러스의 구조나 병원성 등의 정보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로 삼는 세포를 먼저 배양한 다음, 그 위에 바이러스를 심어 증식시켰다. 과거에는 수십 일이 걸리는 과정이었지만, 현재는 ... ...
-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만들어 최대한 많은 숙주를 감염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바이러스는 자신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체를 복제할 때 오류가 생겨도 ‘쿨’하게 넘긴다. 필요한 단백질은 숙주세포에서 빌려 써 복제 시간을 아낀다. 엉성해 보이지만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은 제대로 통한 것 같다. 지구상에서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시스템은 외부 물질을 인식하고 유해성을 판단해 제거한다. 그리고 외부 물질의 정보는 항체로 저장해 다음에 똑같은 물질이 침입하면 즉각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면역시스템이 작동할 때 외부 물질에 대응하는 것만큼 중요한 점은 자신의 신체 조직에는 반응하지 않는 것이다. 남과 나, 외부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유전자 수준에서 설계하고 생산하기 때문에 단백질 정보도 원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다. 또 바이러스를 파쇄해 항원을 얻는 게 아니라 항원을 직접 생산하기 때문에 백신에 불순물이 포함될 여지가 거의 없다. 이런 장점 덕분에 서브유닛 백신으로 개발된 백신도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정지궤도 위성은 한 곳에 머물지만, 떠 있는 고도가 너무 높아서(3만 6000km) 원하는 정보를 자세히 관측하기 어렵지요. 반면 성층권 태양광 드론은 너무 높지 않은 고도에서 오랫동안 머물 수 있기 때문에 위성이 할 수 없었던 임무를 실행할 수 있답니다. Q 성층권 태양광 드론은 왜 더 높이 날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