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오랜 세월 숙주 생물의 유전물질을 뺏어 점점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숙주세포의 DNA의 정보를 RNA로 옮기고, 다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적 체계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본 것처럼 그간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등장에 대해 다양한 가설을 제시해왔지만,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어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 방식을 이용하면 유전체 뒷부분에 있는 껍질 단백질 유전정보를 담은 복사본 RNA가 많이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껍질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유전체의 특정 부분을 번역해 필요한 단백질을 각각 만들어내는 일반 세포와 달리, 바이러스는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지상세포는 먼저 T림프구를 불러내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T림프구와 B림프구에게 항원 정보를 교육해 효과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도록 유도한다. 이런 역할 덕분에 수지상세포는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로도 불린다. 수지상세포가 면역반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만큼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병으로부터 지키는 원리가 바로 그러하다. 백신에 의해 미리 알게 된 바이러스의 정보로, 우리 몸은 감염병과 싸울 면역력을 얻는다. 백신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체 면역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인체의 면역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질병의 종류와 관계없이 ... ...
- 사라지는 역사 디지털로 살린다, 문화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안녕? 난 과학으로 문화재를 지키는 손오공! 그런데 웬 글씨들이 떠 있냐고? 오랫동안 비석에 감춰져 있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연구하는 중이거든. 최 ... , 신원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공안전지능화연구실), 박지윤(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임주현(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단), The National ... ...
- 문화재, 실시간으로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위험한 정보라고 판단되면 출동해 문화재를 지키지요. 강원도청 홍민오 주무관은 “정보가 많이 모이면 빅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으로 위협을 예측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이어 “이 시스템은 강원도 내 100여 개 문화재에 적용되고 있는데, 노후 건축물이나 공사 현장 등에도 사용할 ... ...
- [수학뉴스] 코로나19와 세포의 싸움 수학으로 들여다본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보내는 세포와 받는 세포 사이의 공간 범위를 추정했습니다. 또 세포 사이에서 유전자 정보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계산해 세포 사이를 오가는 유전자에 어떤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지를 예측했습니다. 최적 운송 이론은 비용을 최소화하는 운송 경로를 찾는 수학 이론으로, 이 이론을 연구한 ... ...
-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자랑을 했는데, 과연 판결문에 숨긴 메시지는 무엇이었을까? # 적에게 들키지 않고 정보 전달하려던 독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이 독일, 오스트리아 동맹군과 싸웠던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중립을 고수하며 전쟁에 참여하지 않고 있었다. 유럽에서 벌이는 전쟁이 미국에 큰 영향을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차세대 시퀀싱: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술 중 하나다. 수백 만 개의 DNA 염기서열 정보를 병렬적으로 처리해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 ※필자소개 김지윤.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소화기 약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며,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D-2)에서는 그동안 조립동에서 작업한 나로호의 상태와 발사 준비상황에 대한 정보가 공유됐다. 먼저 러시아 연구자들이 나로호 1단 엔진과 1단 제어시스템, 1단 원격측정시스템, 총조립된 1단의 상태 등을 공유했다. 우리 측은 나로호 상단과 인공위성의 준비상황, 발사대와 추적레이더,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