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7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신경망 본딴 소자로 만든 차세대 '전자 코'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오준학 화학생물
공학
부 교수와 박태현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간 뇌 신경망을 모방한 뉴로모픽 소자와 인간의 후각 수용체를 결합해 인공 후각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베이킹소다 성분 이용해 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연구팀이 새로운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을 이용해 고리형 카보네이트로 플라스틱을 합성했다. 서울대 제공. 고체 상태로 포집된 이산화탄 ... ‘네이처 신세시스’에 23일 온라인 게재됐다. 공동 제1저자인 장준호 서울대 재료
공학
부 박사후연구원(왼쪽)과 김창수 KIST 선임연구원. 서울대 ... ...
지하엔 '강'·도시 전역은 '스펀지'...극한호우 막는 극한전략
2024.05.24
교수와 함께 포츠담 광장을 설계한 허버트 드라이자이틀 싱가포르 국립대 디자인 및 환경
공학
과 교수는 "그린 인프라는 홍수와 같은 기후재난의 완충재 역할을 한다"며 "인구가 도시에 집중된 아시아에서 필요성이 특히 클 것"이라고 조언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그레이 인프라와 그린 인프라를 ... ...
한국에도 오로라 내린 '태양폭풍' 비밀 400년만에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폭풍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대니얼 레코아넷 미국 노스웨스턴대
공학
과학 및 응용수학과 교수는 "캐링턴 사건과 비슷한 수준의 태양 폭풍이 미국을 강타하면 약 1조에서 2조 달러(약 2728조 원)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
[과기원NOW] KAIST, 파리올림픽 기념 전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소속으로는 유일하게 참여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함병승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부 교수가 기존 양자센싱의 단점인 해상도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개념의 '초해상 양자센서' 범용 이론을 확립했다고 23일 밝혔다. 함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궁극적으로 현재 통용되는 고전 기술과 양립할 ... ...
60년 뒤 한국, 300만명은 ‘지하수 부족’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위해 지금보다 많은 자금을 투자해야 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감종훈 포스텍 환경
공학
부 교수와 박창균 포스텍 연구원(현 LG에너지솔루션 소속)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수집된 남한의 지하수 수위 데이터를 시간적‧공간적으로 분석해 이같은 결론을 도출한 연구 결과를 지난달 20일 ... ...
막 잡아당겨도 '무선통신' 가능한 전자피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회로 기판의 특성을 간과했다고 보고 연구에 돌입했다. 정 교수 연구팀은 고주파
공학
과 웨어러블 기기 분야에 대한 경험을 살려 새로운 회로 기판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소재 분야를 연구하는 유 교수 연구팀과 협업을 시작해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신축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기판에 ... ...
'담배 표준유전체' 구축...식물 백신 연구 활성화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담배류 식물의 표준유전체를 구축한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연구진. 왼쪽부터 교신저자 권석윤 부원장, 연구책임자 신아영 선임연구원, 제1저자 이상희 UST-KRIBB 스쿨 박사과정생, 제1저 ... 데이터’에 지난달 16일 게재됐다. 니코티니아 벤타미아나 유전체 모식도.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 ...
KAIST, 세계 최대 규모 '암 데이터베이스'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KAIST는 박종은 의과학대학원 교수, 최정균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암 조직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세훈 삼성서울병원 교수 연구팀과 함께 면역 치료의 예후 예측에 중요한 세포의 생태계 타입을 ... ...
[과기원NOW] KAIST 2024 리서치데이 개최, 방효충 교수 연구대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시 효과적인 비만 치료 방법을 제시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엄광섭 신소재
공학
부 교수와 정건영 교수 연구팀이 삼차원 집적구조를 리튬 금속 담지체로 활용해 리튬을 안정적으로 저장해 리튬금속전지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삼차원 집적구조는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