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최진석 KAIST 교수, IEEE서 ‘우수 젊은 연구자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2
- 교수와 남효영 IT융합공학과 연구교수, 이승재 원광대 기계공학부 교수, 정훈진 박사 공동 연구팀이 최첨단 드래깅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기공이 있는 인공 소구경 혈관(SDV)을 만들고, 이를 통해 내피를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SDV는 지름이 5mm 이하인 인공혈관으로, 기존 SDV는 대부분 ... ...
- 변비 걸리면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 2배 이상 높아져동아사이언스 l2023.12.22
-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요인을 확인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태 의생명공학과 교수와 연동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교수 공동연구팀이 장운동성 저하와 알츠하이머병 사이의 인과 관계를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변비가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을 ... ...
- [과찬의 말씀] 인공 뇌 새 지평 연 과학자…"실험실 떠나 상용화 이루겠다"2023.12.22
-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의학연구단 연구위원이자 연세대 언더우드특훈교수이며, 생명공학기업 ㈜세라트젠 창업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로 참여하고 있다. ※ 주요 국가R&D 과제 참여 실적 - 오가노이드 모듈 합체·정렬 기술을 통한 바이오 인공 장기 생산 연구(2021~2023) - 간 조직 특이적 ...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새해부터 지스트는 '넘버원'을 향해 더욱 힘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 포스텍은 기계공학과 노준석 교수의 '나노 패턴과 빛을 이용한 전방 180도에 위치한 물체의 거리를 인식하는 비전 기술'과 안지환 교수의 '자외선 및 플라즈마를 통한 차세대 원자층 공정 장비 및 2차원 나노 소자 제작 기술'이 ... ...
- 화학반응 설계하고 스스로 약물 만드는 'AI 화학자' 등장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게이브 고메스 미국 카네기멜론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들이 개발한 AI 시스템 '협력과학자(Coscientist)'가 실험실에서 파라세타몰과 아스피린 등의 화합을 만드는 화학 반응을 설계하고 수행한 연구 결과를 2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 로봇 수술하는 의사 뇌에 전기자극 줬더니 수술 능력 향상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결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제레미 D. 브라운 미국 존스홉킨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머리 뒷부분에 약간의 전류를 가하는 것으로 로봇수술 조작 방법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를 20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체 건강한 성인 남녀 36명을 ... ...
- "나 지금 우울해?"…스마트폰 사용 패턴으로 진단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스마트폰 사용자의 음성과 키보드 입력 기반으로 정신건강을 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 제공. 스마트폰에 입력한 텍스트 및 음성 ... 처리 분야 학술대회 ‘EMNLP 2023’에서 발표됐다. (왼쪽부터) 윤형준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생, 이성주 교수, 이승주 석사과정생. KAIST 제공 ... ...
- [과기원NOW] 이건우 제5대 DGIST 총장 20일 취임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임용됐고 서울대 공대 학장, 동대학 공학전문대학원 초대원장, 대한기계학회 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지난달 27일에는 DGIST 임시이사회에서 제5대 총장으로 선임됐고, 1일 최종 임명됐다. 임기는 4년간이다. ■ KAIST는 20일 윤동기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연성 소재 중 하나인 ... ...
- 한파 찾아오면 동해 이산화탄소 흡수량 늘어난다동아사이언스 l2023.12.20
- 북극 공기의 남하 강도에 따라 동해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달라진다. 포스텍 제공. 한파가 찾아오면 동해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 ... 포함하고 있어 이산화탄소 저장 및 활용 측면에서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이기택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포스텍 제공 ... ...
- [과기원NOW] KAIST, 원하는 색깔의 '마이크로 LED 전사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12.19
- 에 11월 23일 온라인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임성훈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단안 카메라를 이용해 3D 객체의 위치를 높은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한 장의 사진으로 정밀한 3D 이미지를 얻어내기 위해 신경망이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