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축
확립
건설
건립
설계
부착
편성
스페셜
"
형성
"(으)로 총 1,3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아닐까. 권력과 부를 향한 수컷들의 탐욕으로 남자는 싸우다 죽고 여자는 굶어 죽던 시대
형성
된 극단적인 남녀차별과 이를 정당화한 이론, 즉 2500년 전 ‘하늘의 뜻’이 자녀가 하나뿐인 가정이 대부분이고 먹을 게 너무 많아서 문제인 이 풍요로운 시대에도 여전히 떠받들어진다는 건 비정상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DNA 기반 몽타주’를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 즉 범인이 남긴 DNA에서 게놈을 해독해 얼굴
형성
유전자들의 유형을 추출해 이를 기반으로 몽타주를 그린다는 것이다. 이게 과연 얼마나 예측력이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얼굴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유전성도 크다는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허황된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 도마뱀 무늬는 폰 노이만의 세포자동자로 설명 그동안 많은 동물들의 무늬
형성
원리를 튜링의 방정식으로 설명해 왔습니다. 그런데 밀린코비치 교수팀이 주목한 쥬얼드 라세타 도마뱀은 조금 달랐습니다. 갈색 계열의 반점을 지니고 태어났지만 태어난 지 5개월이 지나자, 무늬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분석해 모기 비행의 특징을 알아냈습니다. 모기의 날개짓(위로 올리는)으로
형성
되는 소용돌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모습. 연구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날개의 위아래 쪽에 압력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알아냈다. - Nature 제공 ● 모기의 특화된 신체 구조가 빠른 비행의 원동력 연구팀을 이끈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질환이죠. 중증근무력증의 면역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항체
형성
을 막기 위한 경구 면역조절 단백질을 연구했습니다." 음식물에서 유래하는 단백질은 외부물질이지만 예외적으로 이에 대한 과민반응이 억제되는데, 이를 경구 면역 관용(oral tolerance)이라 한다. 이 경구 면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소화한 뒤 흡수해야 하는데 이들 발현의 변화가 각각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즉 형태
형성
유전자 발현으로 잎보다 구조가 훨씬 복잡한 포충낭의 전체 골격이 만들어지고 녹말 및 당 대사 관련 유전자가 발현해 벌레를 유인하는 달콤한 액이 나오고, 왁스 생합성 유전자 덕분에 포충낭 위 테두리와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일으킨다는 것도 여러 가설 중 하나일 뿐이니까요. 게다가 최근 아밀로이드
형성
을 막는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하던 두 제약회사가 임상시험을 중단하면서 아밀로이드설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작년 11월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가 아밀로이드를 목표로 한 신약 ‘솔라네주맙’ 임상시험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인공세포를 써서 유해한 박테리아의 생물막
형성
은 억제하고 유익한 박테리아의 생물막
형성
은 촉진해 장내미생물의 조성을 바꾸는 일도 가능함을 시사한다. 해양 박테리아인 비브리오 피셰리는 균체밀도 신호분자를 교환해 밀도가 어느 수준 이상이 됨을 확인하면 빛을 내놓는다. 최근 이 ... ...
[사이언스 지식인] 구제역 O형과 A형, 혈액형 같은 건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11
형성
률은 3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장주가 소유하고 있는 인접 한우 농장의 항체
형성
률은 100%인 것으로 확인됐으나 농장주 부인 소유의 또 다른 한우 농장은 6%에 그쳤다. - 동아일보 2월 10일자 기사 중 A. 100%는 아닙니다. VP1의 유전자형이 다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되면 BMP 발현이 늘어나면서 땀샘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20주차에 이르면 땀샘은 계속
형성
되는 반면 새로운 모낭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는다. 즉 사람의 피부에서는 털이 생기다말고 땀샘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 결과 사람의 피부에는 털과 땀샘이 뒤섞여 있다. 필자는 2013년 학술지 ‘셀’에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