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여기서는 2, 6+1+5, 5인데, 가운데 수가 12로 10이 넘으므로 1을 앞의 자리로 올린다. 곱셈 값은 325다.알콰리즈미의 심사평 ★★★☆☆이 팀의 곱셈법은 정말 쉬우면서도, 구구단을 외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군요. 정말 놀라워요~! 그런데 선긋기 곱셈법 말입니다. 두 자리 수는 괜찮지만, 235×5967과 ...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값들과 얼마나 비슷한지 확률적으로 계산해 비교하는 작업을 한다. 그리고 여러 확률 값들 중 가장 유사도가 높게 나온 단어인 ‘검색’을 명령어로 인식해 명령을 수행한다.현재 자비스처럼 모든 언어를 이해하는 음성 인식 기술은 개발되지 못했다. 하지만 스마트폰 음성 인식 서비스와 같이 ...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도달한 빛은 에너지가 낮아져 온도가 5K(약 영하 268°C)까지 떨어졌을 것으로 예측됐다(이 값은 제자 앨퍼가 한 연구 결과였다).이것을 증명하는 방법은 측정밖에 없었다. 하지만 가모프 팀이 이 계산을 한 1940년대 말에는 불가능했다. 복사에너지를 측정해 우주의 온도를 재면 되지만, 도대체 어떻게? ...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판이 충돌할 때 매질에 응력이 누적된다. 누적된 응력이 매질이 견딜 수 있는 한계 응력값(임계치)에 도달하면, 이 매질이 쪼개진다. 이 현상이 지진이다.응력을 만드는 지각 판의 이동은 맨틀 대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년 일정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판의 충돌에 의한 응력 발생량도 매년 ... ...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만든다. 당연히 길이 조절은 자유자재다. 털의 경우 길이를 다양하게 만들기 위해서 길이 값에 무작위 오차를 주기도 한다. 여기까지는 최대한 진짜 같은 털을 만드는 작업이다. 때로는 진짜처럼 보이기 위해 오히려 가짜 털, 또는 과장된 털을 만들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스프링 머리카락이다. 먼저 ...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값은 75~80km/s/Mpc 정도”라며 “반면 더 먼 초신성을 이용해 측정한 경우 67km/s/Mpc과 비슷한 값을 얻는다”고 설명했다.네 번째는 가상의 입자인 ‘제4의 중성미자’의 존재 여부가 불확실해졌다는 점이다. 이는 허블상수와 관련이 깊다. 이명균 교수는 “허블상수가 작아지면 제4의 중성미자가 없다는 ... ...
-
- 늑대와 개의 차이는 OOO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사람 옆에서 함께 살며 저희도 변화했다는 증거랍니다.아무 거나 잘 먹는다니, 먹이 값은 별로 안 들겠군.네? 야생 늑대처럼 생고기를 꼬박꼬박 먹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사람이 먹는 음식을 마구 주는 것도 금물! 개에게는 너무 짜거나 자극이 강한 음식은 건강에 나빠요. 양파나 초콜릿 같이 절대 ... ...
-
- [현장취재] 온가족이 즐거운 수학체험관 궁리마루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굉장히 흥미로웠다. 이런 재미 때문에 관람객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원주율에 근접한 값을 찾기 위해 여러 번 반복해서 측정하고 있었다.한편, 기하학의 위상 개념을 체험하는 ‘뫼비우스 띠’ 방 천장에는 거대한 뫼비우스 띠 모양의 트랙이 달려 있다. 무선 조종 자동차가 아슬아슬하게 그 위를 ... ...
-
- [체험] 피보나치 수를 품은 잎차례와 앵무조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4호
- 5°를 360°로 나누면 약 0.382, 222.5°는 약 0.618이 된다. 0.382는 1에서 황금비의 수인 0.618을 뺀 값과 같다. 따라서 두 각을 ‘황금각’이라고 부른다. 실제로 잎과 잎 사이의 각도가 황금각에 가까울수록 잎이 서로 겹쳐질 확률이 작아진다 ...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이 점이나 기하학적 형태를 ‘끌개’라고 부른다. 위상공간에서 물체의 운동 상태는 초기값을 다르게 선택해도 결국 끌개로 다가간다. 따라서 끌개의 형태가 어떤 종류인지 알면, 그 운동 상태가 어떻게 변할지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예측할 수 있다.그런데 1963년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는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