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각양각색 다각형의 무게중심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무게중심은 각 물체의 좌푯값과 무게를 곱해서 모두 더한 값을 모든 무게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비행기 자체의 무게중심을 (xa, ya, za)라 하고, 비행기의 무게를 wa, 비행기 내의 사람과 물건의 위치를 각각 (x₁, y₁, z₁), (x₂, y₂, z₂),…, (xn, yn, zn), 그 무게를 w₁,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지적했다. 신 교수는 “이런 혼란을 줄이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온도에 역수를 취한 값을 쓴다”고 설명했다.온도(K)에 역수를 취하고 -1을 곱하면 우리가 잘 아는 양의 절대영도는 -∞가 되고, 음의 절대영도는 +∞가 돼 어느 쪽이 더 뜨겁고 차가운지 한눈에 알 수 있다. 또 무한 온도는 양의 온도 체계 ...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두 사람은 서로 사랑하면 할수록 데이트를 많이 한다. 이걸 왼쪽 그래프에 나타내면 결과값인 z축이 데이트 횟수가 된다.연애 감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당연히 남녀의 심리 상태다. 따라서 x축과 y축은 각각 여성과 남성의 심리 상태로 놓는다. 이때 x축이 왼쪽으로 갈수록 여성이 상대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R(k, k)≥[sqrt{{2}^{k}}$]이다. 여기서 [$x$]는 $x$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다. 그런데 실제 값 4와 18은 차이가 너무 크다. 과연 이 공식이 의미가 있는 걸까?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숫자가 조금만 커져도 경우의 수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커진다. 따라서 헤아릴 경우의 수를 조금만 줄여 줘도 램지수를 ...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장착해야 한다. 화성의 중력장에 맞추어 보정을 한 중력 및 관성센서와 이 센서들의 값을 이용한 자동 비행 프로그램도 화성 표면의 물리적 특성을 감안해 설계돼야 한다.무인비행탐사선의 안전성과 신뢰성 검토도 필요하다. 우주에 있는 행성에 무언가를 보낼 때 가장 고민스러운 점은 탑재물의 ...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고기압이 형성됐다. 그 결과 고기압이 제트기류를 느슨하게 만들어 극진동지수가 음의 값을 갖게 된 것이다.이렇게 제트 기류가 약해지면 주로 찬 공기가 동아시아, 유럽 등 남쪽으로 내려온다. 이 때문에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 우리나라에 폭설과 한파가 찾아올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이처럼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어떤 일이 한 번 일어난 다음, 또 일어날 확률은 처음 그 사건이 한 번 일어날 확률보다 값이 커질 가능성이 크다.예를 들어 전체 집단에서 교통사고를 낼 사람의 확률이 10%라고 하자. 100명 중 10명이 교통사고를 낸 것이다. 그런데 교통사고를 낸 사람이 또 한 번의 사고를 더 낼 확률을 생각해 보자. ... ...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바탕으로 앞으로 인구가 어떻게 변할지 구하는 방법입니다. 인구균형방정식에 각각의 값을 넣으면 구할 수 있죠.인구균형방정식미래의 인구수 = 기준인구 + 1년간 자연증가(출생아수-사망자수) + 1년간 사회증가(입국자수-출국자수)최근에는 출산율 저하로 태어나는 아기의 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 ...
- [해외취재] 영국 매스투어2탄, 위대한 수학자들의 자취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주면 1078이 됩니다. 8번째 줄을 계산하면 4312가 되죠. 이제 2번째 줄의 값을 8번째 줄의 값보다 한 칸 앞으로 오도록 더해 주면 15092를 얻을 수 있어요. 정말 간단하죠?스코틀랜드 국립박물관에서 네이피어 막대와 계산표를 본 뒤, 그가 생전에 다녔고, 사후에 묻혔다는 성 쿠드버트 교회로 가 네이피어 ... ...
- 성스러운 생태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상수를 기울였지만, 막상 그 현상을 관측하려는 학자들의 기계들이 고장 나거나 오류값만을 출력하곤 했다.결국에는 ‘신들은 기계를 싫어한다’는 농담 같은 격언만 남긴 채 모든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이후의 일들은 너무 갑작스럽고 급격하게 벌어졌기 때문에 마지막 순간에도 그는 최초의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