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토대
이유
기반
기본
원인
근본
d라이브러리
"
근거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사안별로 각각의 처방전을 제시하는 민간요법과 한의학은 분명히 다르다. 한의학 자체는
근거
와 체계가 있고 질병마다 대처하는 처방전에는 뚜렷한 이유가 있다.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우리에게 낯설다. 그동안 서양의학 개념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에게 ‘정’이나 ‘사’, ‘기’와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파생되는 E=mc2을 통해 에너지와 질량을 통합했다. 현대우주론은 그의 유명한 방정식에
근거
를 두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을 거쳐 원자핵에 갇혀 있는 에너지를 우리에게 전력이라는 형식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렇게 엄청난 이론을 거의 한사람의 힘으로 이뤄냈기에 단연 아인슈타인을 1위로 뽑았다. ... ...
식물에 빗댄 속담풀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모자를 내리지 못할 정도의 높이까지 커버린다는 것. 과장이 섞여있긴 하지만 나름의
근거
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죽순의 종류마다 차이가 있지만, 죽순의 생장기간인 한달 정도가 지나면 대략 5-6m까지 자란다. 참나무나 소나무라면 약 15년이 걸려야 도달할 수 있는 높이니, 실로 엄청난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를 바꿔 말하면 지구에 살았던 생물은 2억종이 넘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자료를
근거
로 계산하면 적어도 1억종 이상의 생물들이 멸종했다는 답이 나온다(최대 1억종의 생물만 현재 남아있기 때문이다).지구에 생명이 언제 출현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가장 오랜 암석의 나이가 40억년,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현재의 지능검사가 한 개인에 대해 편차가 심하다는 데 있다. 이렇게 되면 공정한 판단
근거
로서의 의미가 상실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학교에서 실시하는 집단 검사보다는 1:1 개인검사를 주로 실시한다. 참고로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지능검사에는 IQ검사와 함께 적성검사와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않으면 이해가 안된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즉 암흑물질이 존재해야 한다는
근거
를 마련해주고 있다. 아니면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이 틀렸든지. 이렇게 시작된 암흑물질에 대한 논의. 이제는 없어서는 안될 과학의 수수께끼 중 하나가 됐다. 이후 눈에 보이는 물질이 생각했던 것보다 매우 ... ...
③ 21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무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76절이다. 근본주의단체들은 ‘자살특공대’를 육성하면서 이같은 코란의 구절을 논리적
근거
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90% 이상은 평화 원한다”하지만 이슬람 전문가들은 ‘이슬람 = 테러’와 같은 생각은 이슬람교에 대한 철저한 ‘오해’라고 지적한다. 손주영 한국외국어대 아랍어과 ... ...
기출문제 정복해 2학기 수시 노린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바꿔도 위험 부담은 크지 않다. 왜냐 하면 정시의 경우 수능 비중이 크므로, 수능 성적에
근거
해 대략 정시 합격 여부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정시에서 3군데 복수지원이 가능하므로 위험성은 더 낮아진다. 고정관념 타파하라 ‘공대 문제는 무조건 물리’라는 생각은 오해다. 우선 상당수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prudent avoidance)라는 재미있는 표현을 했다. 즉 전자파로 인한 인체영향에 대한 명확한
근거
는 없지만 국민건강보호를 위해 관련산업의 활동을 위축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장 엄격한 기준을 도입하겠다는 취지다.이와 유사하게 국내의 연구기관도 전자파 인체노출 누적량 증가, 전자파에 대한 ... ...
잠버릇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증상이 없는 사람에서도 씹는 근육인 저작근의 주기적 근육 활성상태가 기록된다는데
근거
를 둔다. 실제로 동물 실험에서 수면에 의해 활동이 영향을 받는 뇌의 외측 시상하부와 편도를 자극해 주기적인 턱운동을 유발한 보고도 있다.질병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이갈이를 유전적인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