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게임 개발자에게 게임 제작을 배울 수 있다는 게임카페가 있다는 걸 알게 됐고, ‘이건 꼭 해야 해’라는 생각에 지원했습니다.(웃음)물론 재미있었어요. 게임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절차를 직접 경험해볼 수 있어서 좋았지요. 사실 저는 게임을 빨리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에 ‘앱어랜드’라는 자율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금까지 모든 뇌 질환 연구는 1988년 처음 뇌지도로 만들어진 60세 프랑스 여성의 뇌를 기준으로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환경이나 유전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쓰이는 뇌 모형이 서양인에게 맞춰져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한국 노인에게 맞춘 뇌 모형을 개발했다. ... ...
-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볼 수 있게 해 준답니다. 또 헤드셋은 외부의 빛이나 풍경을 볼 수 없도록 눈 주변에 꼭 맞춰 쓰도록 되어 있어요. 화면이 눈앞에 꽉 차기 때문에 지금 보고 있는 영상이 내가 있는 현실처럼 느껴지게 되지요.헤드셋에는 핵심 부품이 하나 더 들어 있어요. 바로 머리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 앞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가족 사랑이 보글보글~ 오늘은 내가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달걀-빵가루 묻히기를 훌륭하게 해냈어요. 샘킴 셰프는 밀가루-달걀-빵가루 순서를 꼭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어요.“밀가루는 재료에 달걀이 잘 묻도록 도와 주는 역할을 해요. 액체 상태인 달걀을 재료에 바로 묻히면 그대로 흘러내리거든요. 밀가루의 아주 작은 입자가 재료와 달걀 옷 사이에서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20°의 삼각비는 교과서 맨 뒤쪽의 삼각비표를 보고 읽을 수 있어야 통과한다는 규칙을 꼭 지킬 것!거꾸로 땅따먹기 각 모둠은 특정 범위 내에서 2~3문제를 내고 문제마다 상·중·하로 난이도를 매긴다. 난이도 상 문제를 내면 15cm×15cm의 땅을, 중 문제는 10cm×10cm의 땅을, 하 문제는 5cm×5cm의 땅을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에너지가 낮은 상태(안정)가 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어디에선가 꼭 작대기가 어긋나고, 짝을짓지 못한 사람들은 불안하다. 물리학적으로는 에너지가 높아 불안정한 상태다.마찬가지로, 1차원 구조에서 전자와 포논의 1대 1 매칭은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에너지가 불안정해지기 쉽다.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막장 쪽으로 안내했다. 막장은 굴착하는 터널의 가장 안쪽 벽이다. 머리 위 안전모를 꼭 붙들고 막장으로 걸어가자 ‘쏴아아’하는 소리가 들렸다. “이거…, 물 소리인가요?”라고 묻자 함께 간 주채만 현대건설 과장이 고개를 끄덕였다. 기자가 순간 긴장할 정도로 물 소리가 제법 컸다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상하게 생각했지만 대답을 피하지는 않았다.오히려 뭔가를 기대하는 눈치였다. 그러다 꼭 맞는 사람 하나를 발견했지만 은경은 거기에 머무를 수 없었다.‘이건 아닐 거야. 그래, 복수정답일 거야. 더 찾아보자.’그 순간 마음이 조금은 가벼워지는 것 같았다.그래도 그날은 도저히 일찍 잠이 들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낸다.그러나 스피커를 무한히 많이 설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녹음되지 않는 공간이 꼭 생긴다. 이 경우 추출한 음원의 경향에 따라 함수를 구한다. 다시 말해, 유한한 개수의 음원으로 연속 함수를 만들어 녹음되지 않은 위치에서도 소리가 어떻게 들리는지 알아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혼만은 절대 안된다며 근근이 결혼생활을 이어가는 부부들이 좋은 예다.집단주의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집단주의는 개인이 짊어져야 할 위험을 공동이 나눠 가지는 체제라고 설명하는 학자도 있다.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사업자금을 빌려 준다거나, 빚을 대신 갚아주는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