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한발 더 나아가 파킨슨병 같은 신경질환 치료에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바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실제 치료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전구세포는 여러 차례 세포분열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앞으로는 이 전구세포를 대상으로 직접교차분화 연구가 더 진행될 ... ...
- 힉스메커니즘 제안자 구랄닉 교수 별세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크게 발전시켰고, 강한 상호작용에 관한 양자색역학(QCD) 발전에도 공헌했다. 말년에는 신경망 컴퓨터 연구에도 관여했다.논문의 공동 저자 톰 키블 박사에 따르면, 당시 그들의 논문은 하이젠베르크 등의 대가로부터도 외면당했고, 연구소에서는 연구를 포기하라는 압력마저 받았다고 한다. 그런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화성차량, 레이더 등 장비의 고장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장비의 유지보수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했다.그 후 1년 동안의 화성 생활은 빠르게 지나갔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메탄/산소엔진으로 작동하는 5인승 차량으로 1만km가 넘는 탐사를 했고, 비행선과 무인기로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규제가 없으면 환자들이 쓸데없는 손해를 입는다”고 말했다. 김승현 한양대 의대 신경과학교실 교수도 같은 의견이다. “중국은 모든 병원에서 줄기세포 치료제를 마구잡이로 시술하고 있는데, 우리도 이렇게 하면 치료의 신뢰도가 떨어져 국가바이오산업 전체를 망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 ...
- 기계생명체의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오른쪽 ‘쿠스토스 카붐’이라는 기계생명체의 배 안에 있는 회로는 마치 우리의 척추신경계를 닮았다. 이렇게 태어난 ‘쿠스토스 카붐’은 잠자는 어린이처럼 쌔근쌔근 숨을 쉰다. 동영상으로 만나보자.▲ 우나 루미노 포르텐텀 Una Lumino Portentum, 2009 Scientific name : Anmopispl Avearium cirriped ...
- ‘참을 수 없는 강아지의 귀여움’ 비결은 ‘옥시토신’ 호르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나오는 걸까.옥시토신은 일명 ‘사랑 호르몬’이다. 뇌의 시상하부에서 만들어지는 신경전달물질로, 사람 사이에서 사랑이나 우애 등의 친근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임신과 출산 때 필수다. 모성 본능을 일으키고 출산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옥시토신은 스프레이 형태의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방광에서 신경세포가 10배 이상 재생돼 손상부위를 회복시켰다. 재미있는 점은 재생된 신경세포가 바깥에서 넣어준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게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처음 넣어준 줄기세포는 곧 사그라들고, 대신 주변에서 돌아다니던 재생능력 좋은 간세포들이 몰려들어 복구에 참여했다. 줄기세포가 ... ...
- 십자매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어린 시절에 충분한 영양이 주어지면 체격이 좋은 건강한 어른 새가 될 뿐 아니라 신경계도 발달해 노래를 잘 부르게 된다. 따라서 노래를 듣는 것만으로도 노래하는 수컷의 체격이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실제로 멧새과의 일종인 늪노래참새(swamp sparrow)를 보면 새끼 시절 먹이를 충분히 먹지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조금 과장하면 단체 줄넘기를 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임 교수는 UNIST가 자랑하는 금속 신경과학자다. 미국 미시간대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다 UNIST로 왔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의 여러 가지 원인이 모두 연결되어 있을 거라는 확신을 가지고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직업병(?)이 발휘돼 자세하게 ...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반면, 후자는 즉시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차를 두고 전달되는 신호를 시신경이 받아들이면서 망막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승 교수는 “이번 연구로 망막 커넥톰 전체를 재구성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