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홍자의 친구 사귀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다시 말해 친구가 150명을 넘어서면 인간의 뇌의 용량이 부족해 그 모든 친구들을
신경
쓸 수 없다는 뜻이다. 특히 던바는 그중에서도 가장 친한 친구는 5명, 좋은 친구는 15명, 신뢰가 가는 친구는 50명 정도라고 설명했다.한편 오늘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SNS를 통해 친구를 맺고, 교류하는 일이 잦아 SNS ... ...
서울대 가서 망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명문대 가는 바람에 인생이 꼬였다니 이게 무슨 소리냐고?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2위에 오른 ‘다윗과 골리앗’의 주장 하나를 우리식으로 옮기면 이렇다. ‘아웃라이어’로 세계적인 경영사 상가에 오른 말콤 글래드웰이 몇 년을 작심하고 쓴 책이니 허튼소리만은 아닐 것이다.저자는 미국 하버드 ... ...
[수학뉴스] 수학 공식에도 아름다운 정도가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영국의
신경
과학자 세미르 제키 연구팀은 최근, 수학 공식의 아름다운 정도를 측정해
신경
과학저널인 ‘프론티어스 인 휴먼 뉴로사이언스’에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연구팀은 15명의 수학자를 대상으로 두 번의 실험을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은 수학자들이 편안한 상태에서 60개의 수학 공식을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움직인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최근에는 스위스 로잔공대 연구팀이 로봇 팔과 근육의
신경
을 연결해서 자유자재로 움직일 뿐 아니라 촉감까지 느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그럼 어떻게 로봇을 의도대로 움직이게 하는 걸까? 사람의 뇌는 특정한 의도를 가지고 행동을 하려는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1만 km 넘게 날아가면 나오는 남극 대륙. 같은 북반구에 있지도 않은 남극을 우리가 왜
신경
써야 할까. 정말 호주의 두 배에 달하는 대륙 아래 잠들어 있는 지하자원을 미리 조사하기 위해서일까. 수천m가 넘는 두꺼운 얼음을 뚫고 자원을 개발하는 작업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다. 현재 남극 연구의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p53은 대표적인 암 억제 유전자다. p53이 제대로 작동할 땐 모든 세포가(증식을 하지 않는
신경
세포는 예외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스스로 죽는다. 이 유전자가 고장 나 세포가 죽어야 할 때 죽지 않고 불필요하게 증식하면 암세포가 된다. 암 환자의 절반 이상은 p53이 돌연변이를 일으켰거나 제 기능을 ... ...
겨울은 사랑을 부르는 ‘도파민’의 계절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불치병인 파킨슨 병은 도파민
신경
세포가 부족해서 생긴다. 시간이 지날 때마다 도파민
신경
세포가 조금씩 소실되면서, 뇌에서 제대로 신호를 주고받지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의지와 관계없이 신체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게 되며, 폐처럼 생명과 직결된 기관과 신호를 제대로 주고 받지 못하면 ... ...
공부 끝나면 커피 마셔!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시험을 하루 앞두고 벼락치기를 할 때, 진한 커피 한 잔은 필수다. 새벽에 깜빡 잠들어버리는 낭패를 막기 위해서다. 그런데 이게 다가 아니다. 최근 공부를 한 ...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처음 밝혀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신경
과학지’ 1월 12일자에 발표됐다 ... ...
동작 그만! 인산염 뺐다고 꼼수 부리냐?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커피믹스가 하루에 10개면 인이 문제가 아니라 카페인이나 당분 섭취가 더 문제지요. 인
신경
쓸 처지가 아닐 겁니다. 하루에 서너 잔 수준이라면 굳이 인산염 없는 커피믹스를 고를 이유가 없고요.속지 않으려면 꼼꼼히 따지는 수밖에게다가 함정이 하나 더 있습니다. 700mg이라는 건 인의 1일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했다. 반면 쳐다보고 있지 않을 때에는 1m도 안 되는 거리에 있어도 사람을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까치가 사람이 자신을 쳐다보고 있는지 아닌지를 멀리서도 알아채고 그에 따라 반응을 보인다는 뜻이다. 이렇게 ‘수줍은’ 까치를 야생 상태에서 관찰만 해서는 그들의 일상을 면밀히 파악하기 쉽지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