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보야, 문제는 두려움이야!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의사들이 관심을 쏟고 있다.그런데 심리학자인 일레인 폭스 영국 옥스퍼드대 정서신경과학연구소장은 다른 관점에서 가소성을 주목하고 있다. 바로 ‘긍정적인 뇌’ 만들기다. 비관적이고 미래를 두려워하기만 하던 우울한 뇌조차, 긍정적인 생각으로 가득 찬 뇌로 바꿀 수 있다는 뜻이다. 긍정적인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반대론자들의 주장과 반대로 포경수술이 조루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한다. 포피에 있는 신경 말단이 너무 예민해서 조루증에 걸릴 경우 이를 제거해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포경인 남성은 수술을 받은 남성에 비해 성기능 장애가 더 많다. 이는 노년이 될수록 더 심해진다.하고 싶으면 하고, 싫으면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부족해서 생기는 병이다. 더 정확하게는 하이포크레틴을 만드는 뇌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체가 정상인보다 현격히 부족하다. 신 원장은 “‘기면증’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원인을 알 수 없는 증후군이 아니라, 생물학적 원인이 분명한 ‘질환’ 입니다”라고 말했다. 1880년 프랑스의 젤리노 박사가 ... ...
- [수학뉴스] ‘숫자 감각’ 생후 6개월에 결정?!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아주 어린 나이에 알아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듀크대 심리신경과학과 엘리자베스 브라논 교수는 숫자 감각이 좋은 아이는 생후 6개월에 그 특성을 드러낸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브라논 교수는 생후 6개월 된 아기 48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화면을 보여 주는 ... ...
- 딴짓하는 입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입을 통해 들락거리며 생명의 기운을 전해 주고 지성의 기반인 언어를 가능케 해준다. 신경이 많이 모여 있는 예민한 입술은 사랑하는 사람과 우리를 이어준다. 외부를 향해 나 있는 작은 구멍은 어떻게 이렇게 풍성한 기능을 지니게 됐을까. 입의 진화는 우리 삶의 진화다.▼관련기사를 계속 ... ...
- ‘숙면이 보약’, 잠잘 때 뇌 속 독성물질 ‘대청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뇌 척수액의 흐름이 깨어 있을 때에 비해 두 배 가량 빨라졌다.네더가드 교수는 "뇌의 신경학적 질병은 수면장애와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 같은 뇌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시사점을 던졌다”고 말했다 ... ...
- 나이들면 심장박동 느려지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느려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이온 통로는 우리 몸에서 전기신호를 만들거나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프로엔자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심장박동이 느려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만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심폐기능을 젊은 시절 수준으로 유지해 나갈 수는 있을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들여 제작했지만, 고작 70억 원 정도를 벌어들이는 데 그쳤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인공신경망은 독감 유행이나 국가가 추진하는 정책의 성공 여부까지…. 오잉? 이 사람들 다 어디 갔지?하하~! 이제 그만 해도 될 것 같네, 리드. 다들 빨리 사업에 적용해 봐야겠다며 신이 나서 돌아갔네. 저기 좀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기술 알고리즘 등도 수학적인 효율성에 기반한 것”이라며 “고등학교나 대학 때 수학에 신경을 써야한다”고 귀띔했다. 전 이사에게 요즘도 수학문제를 종종 풀어보냐고 물었다. 그는 몇 년 전까지 수학능력시험의 수학문제를 풀어봤다고 말했다. 성적은 어땠을까. 그는 “어려웠다”고 웃으며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재미있게도 보톡스는 단백질 분해효소인데 앞서 말한 스네어 단백질, 즉 운반주머니와 신경세포의 막융합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분해한다. 즉 신호전달물질이 들어있는 운반주머니의 막융합을 방해해 근육을 마비시키는 것이다.효모를 이용한 인슐린 생산도 이번 연구의 우연한 부산물이다.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