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018 아시아 가속기·진단장치 포럼’에는 한중일 삼국의 차세대 입자가속기 책임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입자가속기는 기초과학 연구의 핵심 장비이자 노벨상의 산실로 불린다. 가속기는 원자를 구성하는 여러 입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해 서로 부딪쳐 보는 입자충돌기와 입자가 가속하면서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번째 질문 자리가 운명을 결정한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이 있습니다. 주어진 역할과 책임감이 사람을 변화시킨다는 의미인데요. 일부 세포에게도 해당되는 얘기입니다. 발달 초기의 배아에서는 세포의 물리적인 위치가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거든요.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정육면체의 꼭지점 8개에는 양이온이 있고, 중앙에도 양이온이 하나 있으며, 6개 면은 16족의 할로겐 원소로 채워진 특이한 구조의 화합물, ‘페로브스카이트’ ... 효율이 낮지만, 높은 색 순도와 기술의 발전 속도를 고려하면 미래 디스플레이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그리고 생명체는 탄소를 중심으로 한 여러 탄소화합물이 생명체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광물의 90% 이상, 규산염 광물규산염 광물은 규소 1개를 중심으로 산소 4개가 결합한 사면체를 기본 구조로 가진 물질이다. 규소 +4가 1개와 산소 -2가 4개가 만나서 결과적으로 전기적인 성질은 -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탄 캡슐은 굉장히 좁았어요. 그래서 움직일 수도 없고, 먹고 배변하는 것 모두 그 자리에서 해야 했지요. 발사는 성공적이었어요. 하지만 라이카는 돌아오지 못했어요. 지구 궤도를 4바퀴 째 돌던 중 발사 7시간 만에 스트레스와 뜨거운 온도에 의해 죽은 것으로 확인됐지요. 스푸트니크 2호는 ...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천문학자 프리츠 츠비키다. 1933년 츠비키는 지구에서 약 3억 2100만 광년★ 떨어진 머리털자리 은하단을 관측하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은하들이 움직이는 속도가 너무 빨랐던 것이다. 광년★ 빛이 1년 동안 이동한 거리를 1광년이라 한다. 빛은 1초에 지구를 7바퀴 반 돌 수 있다. 정도 속도라면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팰컨헤비는 NASA의 차세대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이 완성될 때까지는 최고 자리를 유지할 전망이다. SLS는 탑재 중량이 팰컨헤비의 2배에 이르는 127t을 지구 저궤도까지 올려놓는 게 목표다. 첫 발사는 당초 2017년이었지만 계속 연기됐고, 2020년 이전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in areas that have been affected previously. 이탈리아는 아프리카와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경계에 자리잡고 있다. 두 판이 서로 밀고 당기고 있기 때문에 이탈리아는 지진에 매우 취약한 지역이다. INGV는 이탈리아 전역에 약 350개의 지진관측소를 설치해 24시간 지진을 감시한다. 또 미소한 지진부터 큰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없다면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지난 해 12월 초, 인천 연수구에 자리 잡은 인천가톨릭대 조형예술대학을 찾았다. 2016년 조형예술대학에는 아시아 최초로 ‘메디컬 일러스트(medical illustration)’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바이오메디컬아트 석사과정이 개설됐다. 이 과정을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많이 든다. 그런데 여기에 알코올을 한 방울만 떨어뜨리면 후춧가루가 일제히 접시 가장자리로 퍼진다. 표면장력이 약한 알코올 쪽에서 표면장력이 강한 물 쪽으로 입자들이 끌려가기 때문이다. 같은 원리를 분무 형태의 약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분무형 약제는 계면활성제를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