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으)로 총 1,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융합포럼] 융합과학 현 주소…시민과 소통하는 과학의 미래(종합)2018.11.21
- 역시 논의됐다. 오후에 이어진 세션Ⅲ 프로그램의 ‘융합교육 토론회’에서 이철호 고려대-한국과학기술원 융합대학원 교수는 “대학과 연구소 간 협력은 이번이 처음이었다”면서 “두 기관의 공동지도를 받은 학생들의 연구성과 결과가 상당히 좋았으며, 새로운 융합교육 모델이 될 수 있을 것 ... ...
- 문재인 정부 2년 과학정책·유사과학의 실태를 묻다동아사이언스 l2018.11.21
- 의료전문기자, 조민규 쿠키뉴스 기자와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단장인 윤석준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이종국 한국정신사회재활협회 이사장(국립공주병원 의료부장), 박기환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가톨릭대 심리학과), 이정하 정신장애와 인권 파도손 대표가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 ...
- [미래융합포럼] 한계를 넘는 길 ‘융합’의 미래를 말하다…2018 미래융합포럼 개막동아사이언스 l2018.11.21
- ‘융합교육토론회’가 진행된다. 권혁인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이철호 고려대 KU-KIST융합대학원 교수, 김연상 서울대 융합기술대학원 교수 등 학계 전문가가 패널토론에 참여한다. 이진규 차관은 “초기 융합연구는 기술적 진보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이제는 다양한 사회문제 ... ...
- OECD ICT 협력체 부의장에 한국인 선임동아사이언스 l2018.11.18
- 관련한 국제적 정책 논의에서도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참사관은 고려대 경영학과와 미국 콜로라도대, 연세대 기술정책학을 공부했으며 미래창조과학부 통신정책국 통신경쟁정책과장, 방송통신위원장 비서관 등을 역임하고 2016년부터 외교부 주OECD 한국 대표부 참사관으로 ... ...
- 수소 연료 앞당길 효율 높은 나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2018.11.13
- 데 성공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아람·백현석 선임연구원 연구진은 이광렬 고려대 교수, 주상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을 때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극 촉매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소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가장 가벼운 ... ...
- 몸속에서 전기 생산하는 섬유전지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8.11.06
- 금속 코팅된 면 섬유 전극의 표면 이미지. 고려대 제공. 심장박동 보조기 ‘페이스메이커’를 몸 속에 넣은 사람은 몇 년마다 재수술을 받아야 한다. 배터리를 다쓰면 작동을 멈추기 ... 10월 26일 자에 게재됐다. 면 섬유 전극의 제작 방법 및 생체연료전지 구성 모식도. 고려대 제공. ... ...
- 충동적 행동 조절하는 신경회로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10.28
- 국내 연구진이 충동적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회로를 처음으로 찾아냈다. 백자현 고려대 교수와 나카지마 류이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 공동 연구진은 뇌의 편도체 중심핵(CeA) 부위에서 도파민 D2 수용체를 발현하는 신경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면 충동적 행동을 현저히 ... ...
- 수소‧산소 동시 생산… 고성능 촉매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10.15
- 고려대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코발트-황(CoS2) 기반 촉매 제조 공정. 고려대 제공. 수소는 가장 깨끗한 에너지로 꼽히지만 만들기가 어렵다. 물을 전기로 분해하는 방법이 가장 쉽지만 ... 신개념 촉매 개발 연구진. 김동완 교수(왼쪽)과 송희조 연구원(오른쪽)의 모습. 고려대 제공. ... ...
- “진짜 LED TV 구현 가능해진다”… 고효율 마이크로 LED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10.14
- 작고 효율이 높도록 만들기 어려워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진은 초소형 마이크로 LED의 전기흐름 효율과 빛 방출 성능을 개선한 고효율 투명전극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고해상도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해서는 LED 조각을 아주 작게 ...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8.10.03
- 연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에 나선다. KAIST와 서울대, 고려대, 경희대 4개 대학과 더불어 KT와 호모미미쿠스, 액터스네트워크, 미래텍의 4개 기업체도 참여한다. 실무 연구진은 교수 10명과 기업전문가 8명, 연구교수 2명, 석·박사과정 연구원 40여 명으로 구성됐다.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