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941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조 분의 1초' 나노입자 찰나의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접근한 두 점이나 선의 변화를 분별하는 능력이다. 연구팀은 투과전자현미경의
한계
를 극복하고 이산화바나듐의 상변화 과정을 촬영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에너지 필터를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활용했다. 현미경의 카메라에 도달하는 동안 시공간 상으로 확산된 광전자 펄스의 ... ...
아픈 주사 대신 팔에 붙이는 패치형 백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이번 연구 성과와 마이크로니들 분야의 오랜 연구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존 백신의
한계
를 극복한 새로운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며 “패치형 백신을 통해 코로나19, 인플루엔자, 결핵 등 다양한 백신을 효과적으로 접종받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제2의 스페이스X 탄생 조짐...로켓랩, 美서 첫 로켓 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현지시간 24일 오후 6시 미국 버지니아주 론치컴플렉스-2에서 미국 우주개발기업 ‘로켓랩’의 우주발사체 ‘일렉트론’이 발사되고 있다. 로켓랩 제공 미국 우주개발기업 ‘로켓랩’이 현지시 ... 위한 연료를 추가로 실을 공간이 없어서 이 방식으로 회수되기 어렵다는
한계
가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배터리를 만들 수 있고 실제 연구하고 있지만 리튬 배터리를 대신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
가 있다. 나트륨 이온은 리튬 이온보다 덩치가 커 같은 용량일 경우 부피와 무게가 더 나가 부피와 무게가 상품성의 핵심 요소인 제품에는 쓸 수 없다. 다른 의미로는 나트륨 이온을 활용한 배터리는 에너지 ... ...
가격 10분의 1 낮춘 암 진단 기술, 국내 연구진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레이저 한 대로 비선형 라만 분자 진동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기존 라만 영상 획득시간의
한계
를 극복해 실시간 구현 및 제작비용 절감으로 상용화에 근접했다”고 말했다. 여민경 충남대병원 병리과 교수는 “ETRI가 개발한 기술은 종양 조기진단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질환의 원인 및 신약 분석 ... ...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KAIST 제공 ■전상훈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성능
한계
를 뛰어넘는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메모리는 음의 정전용량 현상은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플래시 ... ...
호흡 속 가스 분석해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종 이상의 가스들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호기 분석 정확도에
한계
가 있었다. 연구진은 분무열분해법을 통해 넒은 비표면적(단위 질량당 총 표면적)과 다공성 구조를 갖는 팔라듐 촉매가 첨가된 산화주석 구조체를 설계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조기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 ...
베일벗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사고 가능성 100만분의 1"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소형원자로이기 때문에 원자로 연료봉 단위길이당 출력이 낮아 버틸 수 있는 온도 상승
한계
치를 15% 이상 확보했다"고 밝혔다. 대신 하나의 건물에 여러 개의 원자로 모듈을 설치하는 식으로 발전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김 사업단장은 "하나의 건물에 4개의 원자로 모듈을 설치하는 식으로 ... ...
경제성·안정성 다 잡은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성능을 보이지만 안정성이 낮아 공기 노출, 전기화학 반응 등에 의해 촉매 활성을 잃는
한계
가 존재한다. 연구진은 불안정한 ‘루테늄 칼코게나이드’의 촉매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초미세 직경을 갖는 나노튜브 형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구조는 높은 표면 곡률을 갖기 때문에 커다란 ... ...
2027년 '아라온호'보다 강한 쇄빙연구선 극지 누빈다
과학동아
l
2023.01.14
겨울철 극지방에서 연구 및 실험이 불가능하다. 아라온호의 연구 가능 지역도
한계
가 있었다. 아라온호는 1m 두께의 얼음을 3노트(배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1노트는 1시간에 1.85km를 달리는 속도)로 운행할 수 있는 중형급 쇄빙연구선이다. 그보다 더 두껍게 얼음이 얼어있는 중앙 북극해 공해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