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않는 화면을 볼 수 있다. 명암만 구분하는 ‘막대세포’는 사람은 60Hz, 개는 20Hz까지 구분한다.사람보다 넓게 보지만 입체감 덜 느낀다개는 사람보다 시야가 넓다. 사람이 양쪽 눈을 모두 사용해 볼 수 있는 전체 시야는 180°, 개는 240°다. 하지만 입체감을 느끼는 데 중요한 ‘두 눈시야’는 사람이 14 ... ...
- [생활] 명탐정 셜록 홈즈의 추리 비결은? 통계적 추정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뽑는 방법이 개발되었어요. 바로 층화추출법!성별, 연령별, 지역별 등 유형별로 집단을 구분한 뒤 그 안에서 무작위로 뽑는 방법이에요. 이때 전체 집단에서 아파트의 비율이 30%라면 표본에서의 비율도 30%로 맞춰 뽑아야 합니다. 3. 조사 구역을 묶어서 뽑아요! 집락추출법집락추출법은 서로 가까운 ... ...
- 벚꽃 vs 매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도드라져 보이는 수술 등 모두 매화와 같은 특징을 가졌어요. 하지만 꽃받침을 보면 구분할 수 있답니다. 살구꽃 꽃받침은 뒤로 활짝 젖힌 모습이거든요. 꽃을 감싸고 있는 매화의 꽃받침과는 확실히 구별되죠 ... ...
- 큐브에서 움직이는 건물까지, 네덜란드 건축에는 OO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건축물은 뫼비우스 하우스와 메르세데스 벤츠 박물관이다. 뫼비우스 하우스는 안과 밖의 구분이 없는 뫼비우스 띠처럼, 두 개의 독립된 공간을 다시 하나로 이어 주는 독특한 형태로 설계됐다. 벤 판 베르켈은 지금까지와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집을 설계해 달라는 한 부부의 의뢰를 받고, 6년 동안 ... ...
- 해양학 - 해수욕 때, 상어 꼬리 주의하세요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정어리 떼를 향해 꼬리를 강하게 치는 공격-편안한 자세로 돌아가는 마무리’ 총 3단계로 구분했다. 평균적으로 준비 단계는 1.04초, 공격은 0.39초, 마무리는 0.51초정도 걸렸다. 몸과 꼬리 사이의 각도는 평소에 120°로 유지하다가 공격할 때는 순간적으로 -30°까지 구부렸다. 불과 0.39초 만에 허리를 약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유전자 부분에 일어난 돌연변이는 사라져버리거나 알아볼 수 없게 돼, 오늘날 우리가 구분할 방법이 없습니다.그렇다면 알아볼 수 있는 돌연변이는 없는 걸까요.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부분 즉 비번역(noncoding)DNA에서 생겨난 돌연변이는 가능합니다. 비번역 DNA는 삶에 도움도 해도 되지 않습니다 ... ...
- 보현산별빛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곳이래요. 보현산천문대의 자랑거리인 1.8m 광학망원경. 10㎞ 이상 떨어진 100원 동전을 구분할 수 있을만큼 성능이 뛰어나다. 지난 2011년에는 블랙홀이 별을 흡수하는 장면을 세계 최초로 관측하기도 했다.별빛축제에 왜 가야 할까?보통 ‘천문대’라고 하면 누구든 쉽게 찾아가서 하늘을 관측하는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중국의 남방계와 우리나라의 북방계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 전 세계인을 4대 인종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밝혔어요.사람은 쥐나 쌀보다 유전자 수가 적다!다양한 생명체의 유전자 수가 밝혀지고 있어요. 초파리는 1만 3000개, 예쁜꼬마선충은 2만 개, 쥐는 3만 개, 벼는 3만 7000개예요. 그러면 사람은 ... ...
- 최강 홈런왕 미스터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세 종류의 원추세포를 갖고 있어 유니폼의 색을 구분하거나, 경기장의 잔디와 흙을 구분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다. 그러나 고릴라는 지독한 근시다. 먹이를 쥐고 먹을 때나 털고르기를 할 때, 사물에 호기심을 보여 관찰할 때 고릴라는 물체를 눈에서 15cm 이내의 거리에 둔 채로 살핀다. 18.44m 떨어진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기상의 복잡계 양상과 통신 대역을 모조리 훑고, 세 번째로 인공물과 자연을 완전히 구분하면 명함 주인의 족적을 가려내기에는 충분하다.미로는 4행성에 없었다. 그리고 2행성과 3행성의 중간쯤에 있었다. 미로는 둥글고 하얗고 광택이 없었으며 조용했다.처음 출발할 때에는 완벽하게 둥글었을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