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국산 인공위성, 300억 원에 수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물체를 흑백 1m, 컬러 4m 정밀도로 식별할 수 있다. 지상의 물체가 버스인지 승용차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도로, 2006년 발사된 아리랑 2호와 비슷한 수준이다. 쎄트렉아이는 위성 운영에 필요한 지상관제시설은 데이모스 사가 개발할 예정이지만 최종시험, 환경시험, 그리고 초기운용은 두 회사가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쉬운 점도 뇌지도 제작이 어려운 이유다.데이터 처리 능력도 문제다. 1μm 길이를 구분할 수 있는 쥐의 뇌 입체영상은 자료 크기가 빅브레인의 8배인 8TB다. 연구팀은 사람의 뇌를 같은 해상도로 만들면 데이터량이 현재의 2만 1000배인 21페타바이트(PB)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힉스 입자를 찾아낸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않는 화면을 볼 수 있다. 명암만 구분하는 ‘막대세포’는 사람은 60Hz, 개는 20Hz까지 구분한다.사람보다 넓게 보지만 입체감 덜 느낀다개는 사람보다 시야가 넓다. 사람이 양쪽 눈을 모두 사용해 볼 수 있는 전체 시야는 180°, 개는 240°다. 하지만 입체감을 느끼는 데 중요한 ‘두 눈시야’는 사람이 14 ... ...
- 가을 바람 부르는 매미의 물리학 (마지막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등을 보면 모 햄버거 가게의 유명한 로고가 보인다. 이 무늬로 참깽깽매미를 구분하면 쉽다. 필자가 이 햄버거 가게의 후원을 받는 것은 아니니 오해하지 마시길….내가 매미인 줄 몰랐지? 가을이 좋은, 늦털매미작년 10월 중순, 필자(윤기상)가 점심시간에 산 밑에 있는 학교 뒤뜰을 산책할 때였다. ... ...
- 비트 vs 바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가 정보를 처리하는 가장 작은 단위가 ‘비트’예요. CPU는 켜짐과 꺼짐, 참과 거짓만을 구분하는 ‘기계어’를 이해하기 때문에 비트는 0이나 1값만 가진답니다. 1비트는 0과 1 두 가지, 2비트는 00, 01, 10, 11 네 가지 값을 가질 수 있어요. 1비트 늘어날 때마다 다룰 수 있는 정보의 크기가 2배씩 늘어나는 ...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부족함이 없었다.현대수학의 여러 분야를 섭렵했고 순수 수학과 응용수학에 대한 구분도 괘념치 않았던 그는, 1998년에 버클리대에서 ‘21세기에 풀어야 할 수학난제’를 정리해 발표한다. 여러 해 전에 이미 은퇴했지만, 30년 이상을 연구했던 학문적 고향에 돌아가서 후대의 젊은 수학자들에게 ... ...
- 보현산별빛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곳이래요. 보현산천문대의 자랑거리인 1.8m 광학망원경. 10㎞ 이상 떨어진 100원 동전을 구분할 수 있을만큼 성능이 뛰어나다. 지난 2011년에는 블랙홀이 별을 흡수하는 장면을 세계 최초로 관측하기도 했다.별빛축제에 왜 가야 할까?보통 ‘천문대’라고 하면 누구든 쉽게 찾아가서 하늘을 관측하는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중국의 남방계와 우리나라의 북방계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 전 세계인을 4대 인종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밝혔어요.사람은 쥐나 쌀보다 유전자 수가 적다!다양한 생명체의 유전자 수가 밝혀지고 있어요. 초파리는 1만 3000개, 예쁜꼬마선충은 2만 개, 쥐는 3만 개, 벼는 3만 7000개예요. 그러면 사람은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1보다 큰 양의 정수다. 1부터 10까지에서는 그 정의만 알면 누구나 쉽게 소수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소수는 자연수를 이루는 기초다. 소수들을 곱하면 모든 자연수를 만들어 낼 수 있다.소수의 이런 성질 때문에 수학자들은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구별하는 방법쯤은 금세 알아낼 수 있을 거라고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유전자 부분에 일어난 돌연변이는 사라져버리거나 알아볼 수 없게 돼, 오늘날 우리가 구분할 방법이 없습니다.그렇다면 알아볼 수 있는 돌연변이는 없는 걸까요.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부분 즉 비번역(noncoding)DNA에서 생겨난 돌연변이는 가능합니다. 비번역 DNA는 삶에 도움도 해도 되지 않습니다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