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강 홈런왕 미스터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세 종류의 원추세포를 갖고 있어 유니폼의 색을 구분하거나, 경기장의 잔디와 흙을 구분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다. 그러나 고릴라는 지독한 근시다. 먹이를 쥐고 먹을 때나 털고르기를 할 때, 사물에 호기심을 보여 관찰할 때 고릴라는 물체를 눈에서 15cm 이내의 거리에 둔 채로 살핀다. 18.44m 떨어진 ... ...
- 해양학 - 해수욕 때, 상어 꼬리 주의하세요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정어리 떼를 향해 꼬리를 강하게 치는 공격-편안한 자세로 돌아가는 마무리’ 총 3단계로 구분했다. 평균적으로 준비 단계는 1.04초, 공격은 0.39초, 마무리는 0.51초정도 걸렸다. 몸과 꼬리 사이의 각도는 평소에 120°로 유지하다가 공격할 때는 순간적으로 -30°까지 구부렸다. 불과 0.39초 만에 허리를 약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기상의 복잡계 양상과 통신 대역을 모조리 훑고, 세 번째로 인공물과 자연을 완전히 구분하면 명함 주인의 족적을 가려내기에는 충분하다.미로는 4행성에 없었다. 그리고 2행성과 3행성의 중간쯤에 있었다. 미로는 둥글고 하얗고 광택이 없었으며 조용했다.처음 출발할 때에는 완벽하게 둥글었을 ... ...
- 돼지가 궁금해? 돼지 보러오면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씻지 않아도 냄새가 나지 않는단다."돼지들은 먹는 곳과 자는 곳, 싸는 곳을 스스로 구분할 수 있어요. 본능적으로 깔끔하기 때문에 먹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배변을하지요. 게다가 돼지는 땀샘이 없어서 6개월간 씻지 않아도 냄새가 나지 않아요. 하지만 사람들은 고기를 많이 얻기 위해 ... ...
- 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각기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등지느러미만 보면 개체를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처음 보는 지느러미라면 새로운 식별번호를 붙인다. 이전에 봤던 지느러미라면 그 개체가 잘 살고 있다는 뜻이다. 남방큰돌고래 8호도, 10호도 그랬다. 하지만 9호는 아니었다. 사람들이 ...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뇌에는 기능별 구역이 있다. 서울 지도를 펼쳐 명동은 쇼핑, 광화문은 관광 등으로 구분하는 것과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뇌에서 문제가 생긴 부분을 직접 자극하거나 절개해 치료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단점이 있다. 실패하면 그 기능을 아예 못 쓰게 되기 때문에 위험하다. 예를들어, 난치성 ... ...
- [섭섭박사가 간다!] 힘을 분산시켜 튼튼! 현수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현수교가 뭐예요?흠흠…. 현수교는 다리 종류 중에 하나야.다리는 그 생김새에 따라 구분하거든.우와~, 다리도 여러 종류가 있다니 놀라워요! 그럼 현수교 말고 또 어떤 다리가 있나요?다리는 거더교, 아치교, 트러스교, 사장교, 현수교 이렇게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어. 거더교는 교각 위에 거더 ✽를 ... ...
- 3차원 - 단군은 혹등고래 타고 동해 건넜을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행동과 생태 특징을 고려해,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58점의 고래 그림 중 형태학적으로 구분이 명확한 4점에 대해 생태학적 특징을 곁들여 종을 식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를 꿈꾼 거대 포유류, 고래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2차원 - '놀 줄 아는 동물' 고래의 생태, 행태, ... ...
- [포토뉴스] 원숭이가 셈하는 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양을 선택했다.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원숭이가 물건을 하나씩 세는 방식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어림잡아 살펴보고 물체의 양을 비교한다고 추측했다. 제시카 캔들런 교수는 “이같은 원숭이의 수학적 인지능력은 약 세 살 정도의 유아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연속적인 향상의 과정이 아니라, 큰 틀의 발전과 작은 틈새를 매우는 정상과학기로 구분된다’고 주장했다. 이 말은 세계관의 변화를 유발하는 중요한 화두가 오랜 노력으로 해결되면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고, 이후 구체적인 문제들에 적용되면서 향상의 과정을 거친다는 뜻이다. 이러한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