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50
나노
급 반도체 신재료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만들어 유전율 1.6을 실현했다. 이 교수는 “이 유전박막은 안정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50
나노
급 이하 차세대 반도체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근육세포로 움직이는 1mm크기 초미니 로봇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살아 있는 쥐의 세포로 움직이는 초소형 로봇이 미국에서 개발됐다. 미국 LA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카를로 몬테마그노 교수팀은 크기가 1mm도 되지 않는 로봇에 쥐의 ... 있는 살아있는 세포들”이라고 말했다. 이 팀은 예전에 유전자 조작 단백질을 이용해 회전식
나노
모터를 개발한바 있다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문제였다. 아무도 원자를 직접 관찰하거나 검출하지 못했기 때문에 논란은 끝이 없었다.
나노
미터(nm) 단위의 원자를 직접 볼 수 있는 기구는 당연히 없었고, 원자론을 지지하는 증거들은 모두 간접적인 것들이었다.1803년 영국의 화학자 돌턴이 정비례의 법칙, 배수비례의 법칙, 상호비례의 법칙 등 ... ...
과학책에 인생을 걸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펴내면서 본격적인 과학저술가의 길에 들어섰다.“인지과학, 인공생명, 복잡성 과학,
나노
기술 등 지금도 새로운 학문을 ‘사람과 컴퓨터’에 다 썼어요. 원고지 2100매를 가득 채웠습니다. 제가 박사 학위가 없잖아요. 당시 교수들이 ‘사기다’ ‘외국 것 베꼈다’며 비난했다더군요. 그러나 몇 년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고속이라 할 수가 있으며 오늘날 이용되고 있는 주기억장치의 사이클타임은 수십~수백
나노
초 정도이다헤르페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약칭 CMV라고도 한다풍진(風疹) 바이러스와 함께 태아가 모체에 감염되면 기형이 태어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이다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한번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될 수 있었던 것은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뚝심(?)이었다고 할 수 있어요.“탄소
나노
튜브에 관심을 갖고 연구한 것은 1996년이었어요. 8년이 지났네요. 물론 그 동안 여러 가지 어려움도 많았답니다.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뭔가 한 가지를 선택하면 무엇인가 될 때까지 ... ...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
나노
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탄소
나노
튜브에 수증기를 조금만 가하면 탄소
나노
튜브가 아주 잘 자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츠쿠바에 위치한 국립고등과학 ... 숲’이 만들어졌다.전문가들은 만약 하타 박사 연구팀의 방식이 확대된다면 탄소
나노
튜브의 가격이 내려가 상업적 응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개발한 10
나노
미터(nm) 크기의 금속
나노
입자가 첨가됐다. 이
나노
입자는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인체에 해가 없으며 모발에 잘 흡수된다. 조형촉진제에는 천연물에서 추출한 조형촉진 물질을 첨가했다.이제는 화장품도 ‘맞춤형’_ 셀프내 피부 단백질로 내 화장품을 만드는 ... ...
나노
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 교수는 “우리 학생들은 분자를 설계해 합성하는 연구부터
나노
구조물을 만들어 조작하는 연구, 광전자소자와 바이오칩을 개발하는 연구 등 기초와 응용기술이 다양하게 필요한 분야의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정 교수는“아직도 학생과 연구자들 사이에서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연구도 이와 비슷한 성질의 재료를 찾는데서 시작됐다. 이미 해외에서는 폴리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이용한 연구가 시작된 시점이었다. ‘남들이 손 안댄’ 독특한 소재를 찾던 김 교수에게 어느날 문득 기발한 생각이 떠올랐다. 생체모방작동기 재료로 종이를 써보면 어떨까란 생각이었다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