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50km 떨어진 지역 강수량 예보 적중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보내는 이중 편광레이더를 사용했다. 편광레이더를 통해 얻은 정보에 대기의 습도 데이터를 더해 빗방울이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 얼마나 증발하는지 계산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기상 관측소 레이더에서 50km 이상 떨어진 지역의 강수량도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폭스 교수는 “기존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모기 현황은 서울시 홈페이지(health.seoul.go.kr/mosquito)에 매주 월요일 업데이트 된다. 데이터를 보면 DMS로 측정한 서울 전체의 채집모기 수가 5월 1일 1837마리에서 2주 만에 3076마리로 늘었다. 현재(6월 16일 기준)는 4746마리 수준으로 뛰었다. 유문등에 채집된 모기의 종은 빨간집모기가 가장 많았다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유전자를 기하급수적으로 증폭할 수 있다. 이후 유전자형이 결정되면, 보관된 유가족 DNA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해가며 가족 여부를 확인한다. 유전자 비교는 모계혈통을 기반으로 검사하는 ‘미토콘드리아 DNA(MtDNA)’ 검사를 일차적으로 시행한 뒤, 부계 혈통 기반의 ‘Y-STR’, 부모의 유전자를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유저들이 게임에 로그인, 로그아웃하거나 게임에서 활동할 때마다 남는 흔적인 ‘로그 데이터’를 이용해 게임의 난이도나 승패에 따른 보상 등에서도 밸런스가 잘 맞는지 분석한다. 만약 특정 구간에서 유저들이 게임을 이탈하는 비율이 높을 경우 이 부분의 밸런스가 좋지 않다는 것을 뜻하므로 ... ...
- [과학뉴스] 음악으로 느껴보는 우주의 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중에는 태양계 내행성의 공전 주기와 음악을 합성한 작품도 있지요. 그는 “천문 데이터를 소리로 만드는 작업은 정말 멋지다”면서 “이 사진을 통해 눈이 불편한 친구들도 우주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9분마다 찍어요. 과학자들은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포착하는 ‘횡단법’으로 케플러의 데이터를 분석했지요. 그 결과 2700여 개의 외계행성을 찾았는데, 이는 여태까지 발견한 외계행성 중 70%나 차지한답니다. 케플러의 임무 기간은 원래 3.5년이었어요. 2013년 일부 부품이 고장 나서 임무가 종료될 ... ...
- [과학뉴스]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주 사우스웨스트 연구소(SwRI) 연구원(전 브라운대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소행성 데이터를 더 잘 해석할 수 있게 됐다”며 “일본의 ‘하야부사 2’, NASA의 ‘오리시스-렉스’ 등 소행성 샘플 반환 임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구물리학연구저널’ 5월 2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게임이 개발되고 나면 시간이 지나면서 수 차례 업그레이드를 거치고,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점점 늘어나는 만큼 로직에 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높다. 전공은 뭔가대부분의 개발자와 마찬가지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전공을 통해 게임 프로그래밍에 반드시 필요한 소스코드를 만들 때 사용하는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일하는 개발자들은 대부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나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 전문가 중에는 통계학 전공자가 많고, 사용자경험(UX)을 분석하는 전문가 중에는 심리학과 인지심리학을 전공한 사람도 있다.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전공이 다양하다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경쟁해야한다는 말이다.양자역학은 확률을 예측한다. 따라서 결과는 언제나 수많은 데이터를 평균해서 얻어진다. 원자나 광자 한 개를 다루는 실험을 여러 번 하다보면 전자나 광자를 놓치기 십상이다. 100개의 광자를 보내더라도 일부는 관측되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하필 이상한 녀석들만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