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12월 토성은 1년만에 다시 관측 최적기를 맞이한다. 유명한 별들과 비교해 밝기를 가늠해보고, 둘레를 감싸고 있는 고리에서 틈새를 확인해보자. 또 위성 타이탄도 ... 틈은 A고리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엥케의간극’이라 불린다. 구경이 2백50mm 정도 이상인
망원경
은 돼야 관측이 가능하다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미국의 천문학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
망원경
, 61cm · 46cm의 굴절
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베르하르스트에 의해 1838년에 제안되었다 ... ...
블랙홀에 대한 결정적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관측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광학
망원경
이자 대기의 효과를 없애는 적응광학이 적용된
망원경
인 VLT의 활약이 가장 컸다. 관측자료를 통해 S2별이 15.2년마다 은하중심을 한바퀴씩 도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S2별은 은하중심의 거대블랙홀에서부터 단지 태양과 명왕성 사이 거리의 3배만큼 떨어져 ... ...
살아 꿈틀거리는 우주의 집게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노벨 물리학상이 돌아갔다.게성운의 펄서에 대해 NASA의 허블우주
망원경
과 찬드라 X선
망원경
으로 여러달 동안 관측한 결과를 연구하자,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에서 물질과 반물질이 거의 빛의 속도로 쏟아져 나오는 역동적인 광경이 드러났다. 죽은 줄로만 알았던 집게발이 사실은 살아 ... ...
기술자도 노벨상 받는 시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단백질의 질량을 재거나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 물리학상이 중성미자 관측장비와 X선
망원경
을 개발한 업적에 돌아갔다. 모두 실험방법이나 장치에 수여된 셈이다. 지난해에는 새로운 물질상태인 보스-아인슈타인 응집상태를 구현한 실험장치에 물리학상이 수여됐다.물론 이전에도 실험장치에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성운 · 성단)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
으로 관측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 ...
2002 물리학상 - 중성미자 검출, X선 천문 관측의 창 개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수상하게 됐다.자코니 박사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 허블우주
망원경
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이들 수상자처럼 창의력뿐만 아니라, 긴 세월에 걸친 불굴의 노력이 노벨상으로 열매를 맺는다 ... ...
로봇 툼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있다 또한 식물 · 미생물계에도 존재한다 뉴튼이 오목반사거울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사
망원경
의 한 형식 경사진 평면의 부경(副鏡)을 설치하여 초점을 경통(鏡筒)의 측면으로 도입하는 방식이다 방정식 f(x)=0의 해를 근사적으로 구하는 방법의 하나 물체의 운동에 관한 뉴튼의 기본적 법칙 제1법칙 ... ...
은하수 사라진 구상성단의 밤하늘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조금만 더 컸더라면 제2의 태양이 될 수 있었다는 말도 빈말이 아닌 듯 싶다.허블우주
망원경
이 찍은 사진을 보자. 웬 별이 저리도 많은가. 수십만개의 별들이 구형으로 바글바글 모여있는 구상성단 가운데 하나인 M22의 중심부 모습이다. 우리가 구상성단 안에 살고 있다면 상황은 어떨까. 하늘에 ... ...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독일계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셸로 알려져 있다. 허셸은 1781년 3월 13일 밤 천체
망원경
을 사용해 별을 관측하다가 우연히 천왕성을 발견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가 천왕성을 발견하기 이전에 천왕성을 만났던 사람들이 또 있었다. 어떻게 된 일일까.17세기 영국의 존 플램스티드는 별들의 지도인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