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주피터 X선으로 윙크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대기분자와 부딪쳐 빛을 내는 현상이다.목성의 연인 이오는 무죄이번에 찬드라우주
망원경
이 목성의 오로라와 X선을 처음 발견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전의 X선 위성보다 성능이 우수한 찬드라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목성에서 X선이 강하게 나오는 정확한 위치를 극지방으로 잡아내고 이 X선이 ... ...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목성의 자전’은 금상을 차지했다. 정한섭씨는 컴퓨터 화상채팅용 소형 웹카메라를
망원경
에 연결해 목성을 찍는 신선한 시도를 선보였다. 대적반을 비롯한 다양한 대기 현상이 6장의 사진에 잘 담겨졌다. 놀랍게도 1장의 사진을 얻기 위해 웹카메라의 연속촬영기능을 이용해 1천장을 찍었고 이 ... ...
빛으로 설탕물 농도 측정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 점을 보여주었다. 양복을 말쑥하게 빼 입은 남자가 남미의 어느 오렌지 농장에서
망원경
처럼 생긴 광학기를 들여다본 후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내밀며 “따봉”이라고 외쳐댔던 그 광고에서 말이다. 이때 남자가 들여다본 기기는 편광계(polarimeter)라는 휴대용 광학기인데, 이번 실험의 원리가 ... ...
모르는 사실이 더 많은 이웃 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관측장비로 잡아내 물의 존재를 단숨에 밝힌다는 것.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허블우주
망원경
까지 총동원해 루나 프로스펙터 최후의 순간을 관측했으나, 과학자들은 아무 것도 건질 수 없었다. 목표지점에서 빗나갔거나 충돌에너지가 부족해 얼음 흙에서 물이 분리되지 못했다는 등의 설명이 ... ...
적외선으로 외계생명체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찾기 위해 계획중인 다윈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2015년 발사될 예정인 다윈 우주
망원경
은 태양 같은 모성(母星)으로부터 받아 행성에서 반사되는 빛을 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감도가 높다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태아처럼 실제로 잉태중인 별이 있을까. 올해 초 유럽남반구천문대의 지름 8.2m인 VLT
망원경
을 이용한 관측결과가 발표됐다. 먼지를 뚫을 수 있는 적외선으로 독수리성운의‘태아별’을 들여다봤다. 적외선 사진을 보면 검은 기둥은 사라지고 먼지 뒤에 숨어있던 별들이 많이 나타난다. 특히 가장 큰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풍선의 신호를 포착하기 위해 옛소련을 비롯해 유럽, 브라질, 오스트리아 등의 전파
망원경
이 그물같은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풍선은 진입지점으로부터 1만km나 바람에 의해 움직이며 10시간 동안 관측한 후 전원부족으로 신호가 끊기고 말았다. 하지만 기존의 수직방향 탐사에서 벗어나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시작한 시점을 훨씬 더 과거로 몰고 갔다. 우주
망원경
과학연구소의 연구팀은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관측했던 자료를 살펴보다가,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에서 가장 멀리 있는 초신성을 우연히 발견했다. 무려 1백억광년이나 떨어진 이 초신성을 연구한 결과, 1백억년 전 이후에 우주가 가속적으로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어느 순간 달과 토성이 만나 토성이 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천체
망원경
으로 관측할 때는 토성식이 일어나는 시각을 좀더 자세히 기록할 필요가 있다. 토성이 달에 들어갈 때는 먼저 토성의 테가 달에 닿은 다음, 점차 토성이 가려지고 마침내 토성이 보이지 않는다. 이때 테가 달에 닿는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원인이
망원경
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망원경
의 부품을 모두 분해했다. 심지어
망원경
안에 사는 비둘기집을 발견하고 비둘기똥을 치우기도 했다. 그래도 이 잡음은 없어지지 않았다. 다름아닌 우주배경복사였던 것이다. 이 사실은 당시 가모프의 이론을 연구하던 프린스턴대학의 피블스가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