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천체
망원경
의 초점거리(mm) × tan(달의 시직경/2)달의 시직경 = ${tan}^{-1}$(달의 크기/(2×천체
망원경
의 초점거리))×2달의 시직경을 구하면, 사진 찍은 날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도 마찬가지로 구할 수 있다.(그림2)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 = 지구의 반지름(6378.14 km) + 달의 반지름(1737.4 km)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개미성운으로 변신하기 전에 이 별이 태양과 같은 별이었던 것이다.그런데 허블우주
망원경
이 보여준 개미성운의 모습은 이전에 예측했던 태양 최후의 시나리오에 도전장을 내민다. 개미성운이 보통 행성상 성운처럼 고리 모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공처럼 생긴 별을 부풀린다 해도 공 ... ...
거미줄 인터넷에 온기를 불어넣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프로젝트. 미국의 드레이크 박사가 웨스트버지니아주 그린뱅크 근방에 지름 25m의 전파
망원경
을 설치한 것이 기원이다.●● 이 전파 신호를 처리하는데 드는 시간과 장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40년이 지난 아직까지 뚜렷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는 현실이 그 반증이다. 이 문제에 불을 당긴 것이 ... ...
자연의 정교한 수학자 벌 육각기둥을 선택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구조물을 만들 때 그 내부를 육각형 구조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지름이 6m 정도인 큰
망원경
을 만들 때 그 받침대의 내부에, 그리고 비행기의 무게를 줄이고 재료도 절약하기 위해 비행기 구조물 자체에 벌집식 구조가 사용된다. 이런 구조물은 속이 비고 두끝이 금속관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속이 ... ...
달까지 거리 재는 21세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빛을 반사하는 특별한 프리즘 수백개씩으로 각각 구성된다.레이저의 빛 ‘총탄’을
망원경
으로 달 표면에 설치된 반사경을 향해 조준한다. 이때 빛이 달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시간을 재서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원리는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쉽지 않은 작업이다. 달 표면에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해도 고온과 고압의 금성은 상상할 수도 없는 모습이었다. 1609년 갈릴레오가 처음으로
망원경
을 이용해 관측한 이래 두꺼운 구름에 가린 금성의 참모습을 본 사람은 없었다. 어떤 이는 구름 사이에 빈틈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찾아봤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금성의 구름은 관측의 한계인 동시에 ... ...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말머리성운은 맨눈으로 볼 수 없다. 또 아마추어 수준의
망원경
으로도 찾기 쉽지 않다.
망원경
을 다룰 줄 아는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도 말머리성운은 자신의 관측기술을 시험하는 대상으로 사용될 정도다.말머리가 까만 이유말머리성운은 언뜻 보면 마치 햇빛으로 붉게 물든 노을 위로 검은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 미스터리의 해답은 곧 밝혀졌다. 1965년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거대한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
을 이용해 자전시간을 측정했다. 수성은 멈춰있는 것이 아니라 자전하고 있었다. 측정된 주기는 59일. 수성은 태양에 의해 고르게 데워지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지상에서 밝힐 수 있는 수성에 관한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대개 1백배 이상이라면 쉽게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의외로 목성을
망원경
으로 보고도 대적반을 못본 사람들이 많다. 왜 그럴까? 대적반이 보이는 시간대가 있기 때문이다. 대적반은 목성의 대기 현상으로 목성의 특정 부분에서 나타난다. 대적반은 적도보다 고위도 지역인 체계2 부분에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곳에서부터 희미한 사진들을 찍어 보내오기 시작했다. 희미하긴 해도 이들 사진은 지상
망원경
보다 30배나 선명한 것들이었다. 이들 사진 속의 화성에는 퍼시벌 로웰이 봤다는 수로도, H.G 웰스의 소설 속에 나오는 화성인도 존재할 것 같지 않았다. 단지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로 덮인 죽음의 별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